- Today
- Total
목록스마트홈 & 스마트 비즈니스 (404)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요즘 무선랜이 세간의 화제다. 그래서 통신 3사는 무선랜 핫스팟 구축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곳이 KT. KT는 2009년 아이폰의 보급과 함께 무선랜 환경이 중요함을 인식했고, 2002년부터 구축하기 시작했던 NESPOT을 Qook&Show Zone으로 확대 제공하고 있다. 2010년 말까지 40,000개의 무선랜 핫스팟을 구축할 예정이며, 현재 34,000개 정도 구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SKT는 이러한 KT의 주도권에 물을 타기 위해 3사 개방이라는 카드를 꺼내들고 2010년 말까지 15,0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SKT의 경우 유선통신 부문이 존해하지 않고 설령 SK브로드밴드 회선을 이용한다 할지라도 가입자망이 약하기 때문에, 2-3000개 정도의 핫스..
Business Models for the Free Public Wireless LAN Service The general public takes it for granted that it is free to access the wireless LAN outside the home and the office. Nonetheless, mobile or wireless telcos think differently. They consider that the wireless LAN access service is not lucrative at all, encroaching on the current stable revenue from legacy services. For this reason, they are n..
전자신문 2010년 9월 8일자 [현장에서] 섹션에 실린 기사입니다. 스마트폰 보급으로 부담 없이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다양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출현으로 무선 인터넷의 효용성이 늘어가면서 와이파이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와이파이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뿐 아니라 관련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한국이 초고속 유선 인터넷 망이 기반이 되어 유선 인터넷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것처럼 와이파이는 우리나라가 모바일 인터넷 강국이 되기 위한 인프라가 될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무선랜 접속이 안정적인 서비스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단순 접속에서 벗어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적용이 중요하다고 발..
최근 해외 언론에 발표된 무료 무선랜 관련 뉴스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첫번째는 미국의 M2Z가 2155MHz 대역의 20MHz AWS-3 대역폭을 이용해서 무료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제안을 FCC가 거절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제안의 내용은 전국 대상의 무료 서비스를 전제로 주파수 이용료 면제를 제안했었구요, 대신 광고나 고속 접속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올리겠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2155MHz 대역은 WiMAX 서비스를 위해 돈을 내고 있는 대역이기에 공정성의 문제도 있고, 다른 사업자가 동일 대역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할 경우 진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도 있어서 거절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네요.. 다른 뉴스는 아르헨티나의 무료 무선랜 계획과 관련된 것이네요. 아르헨티나의 기획 장관은 향후 1..
주말에 TV를 보다가 웃겨 죽는 줄 알았다. 그동안 SKT가 안드로 보이를 이용해서 광고하던 것의 진위를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신생아실에 있는 안드로보이가 쉬를 하는데, 얼마나 강한지 지구 밖까지 나간다는 내용이었는데, 처음에는 도대체 그 내용이 뭔가 했었다. 그런데, 위 광고를 보고서야 무슨 의도로 일련의 광고들이 만들어지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첨부된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불편하게 KT의 와이파이 존을 쫓아다니지 말고, 편하게 자기네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쓰라는 이야기다. 좋은 말이다. 그럼 얼마나 좋을까. 정말로 자유롭게 맘껏 무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을까? 상황은 전혀 다르다. 짜증나서라도 SKT의 무선 데이터를 못 쓴다는 것이다. 무제한 쓸 수 있다고 주장하면 무엇하나. 연..
LG U+ - KB국민은행, 전국 KB국민은행 지점에 '와이파이 존' 설치 | 기사입력 2010-08-19 10:00 "해킹 걱정 없이 100Mbps 속도로 무선인터넷을" "KB국민은행 전 지점에서 해킹 걱정 없이 100Mbps 속도로 무선인터넷을 즐기세요" LG U+(부회장 이상철 / www.lguplus.co.kr)와 KB국민은행(은행장 민병덕 / www.kbstar.com)이 급변하는 금융/통신 결합 패러다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KB국민은행 전국 1,100개 지점에 100Mbps 속도의 와이파이(WiFi, 근거리 무선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선다. LG U+는 지난 7월 온국민이 100Mbps 고속의 속도로 부담없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세계 최대 규모의 ACN(AP Centr..
KB국민은행 - LG U+, KB국민은행 전지점에 와이파이 존 설치 기사입력 2010-08-19 09:57 무료로 초고속 인터넷을 즐겨라 KB국민은행(은행장 민병덕)과 LG U+(부회장 이상철)는 급변하는 금융/통신 결합 패러다임에 적극 대응하고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KB국민은행 전국 1,100 여개 지점 중 1,000여개 지점에 우선적으로 와이파이(WiFi, 근거리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한다. 양사는 협약을 통해 8월 23일부터 KB국민은행 전국지점에 50Mbps의 속도와 보안이 강화된 와이파이존을 우선적으로 오픈하고 올해 11월까지 100Mbps 속도의 와이파이 존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KB국민은행 1,000여개 지점의 와이파이 존 구축은 은행권 최대 규모이며, 가입통신사에 관계없이 KB국민은행..
지난 7월 1일부터, 미국 및 캐나다 내의 스타벅스 직영 매장에서는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무선랜 접속이 무료로 제공되기 시작했다. 이와 더불어 다가오는 10월부터는 SDN(Starbucks Digital network)이라는 프리미엄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 밝힌 바 있다. 프리미엄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것이 공개되지 않은 상황인데, 일부 공개된 내용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텐츠는 News, Entertainment, Wellness, Business & Careers, 그리고 My Neighborhood의 5개 카테고리로 나뉘어 제공될 것 같다. 이러한 컨텐츠들은 스타벅스에서만 무상으로 제공될 예정이며, 관련 컨텐츠 프로바이더들도 스타벅스에 별도의 비용을 ..
다 이유가 있었군요. 이래서 SKT가 여러 유통업체들을 돌며 무상으로 무선랜 인프라를 설치해주겠다고 하는 거였군요.. SKT 와이파이 잘 안잡히는 까닭은 최근 갤럭시S로 휴대폰을 바꾼 직장인 한주열 씨(36)는 무선인터넷(와이파이)으로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으려다 화가 났다. 와이파이에 접속됐다는 신호는 나오지만 실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씨는 "갤럭시S는 다른 기능은 좋은데 와이파이가 잘 안잡혀 불만이다. 요즘엔 아예 와이파이를 꺼놓고 다닌다"고 하소연했다. 갤럭시S의 누적 판매량이 70만대를 돌파하면서 와이파이 접속 불만을 제기하는 사용자도 늘어나고 있다. SK텔레콤이 와이파이 장소(T와이파이존)를 연내 1만5000개로 늘리겠다고 발표하면서 가입자들의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기..
최근에 LG U+에서 100Mbps 무선랜인 U+ 100을 출시하자 KT는 적잖이 당황한 모습이다. 며칠이 지나지도 않았는데, 한술 더 떠서 150Mbps 무선랜 허브를 출시한다고 발표한 것이다. 사실 까놓고 보면, 두 무선랜 상품에 사용되는 무선랜 AP는 802.11n을 지원하는 것으로, 최고 속도는 130Mbps 정도 밖에 안 나오는 제품들일 것이다. 우리가 802.11n이 600Mbps가 나온다고 알고 있는 것은 MIMO, 즉 동시에 안테나를 여러 개 사용해서 동시에 여러 개의 무선신호를 보낼 수 있게 하고 빔포밍이나 채널본딩, OFDM 등 6가지 기술들이 모두 적용됐을 때 나올 수 있는 속도다. 일반 AP처럼 달랑 안테나만 2개 달린 802.11n AP로는 잘 해야 120-130Mbps 정도 나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