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스마트홈 & 스마트 비즈니스 (404)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기사 내용에도 있지만, 올초부터 맥도날드에서 와이파이(무선랜) 접속을 무료로 제공하면서 스타벅스는 보이지 않은 무선랜 무료화 압력을 받은 것 같은데요 결국은 사용자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말았네요. 뭐 여러가지 수지타산을 따져봤겠지만, 결과적으로 잘한 결정인 것 같습니다. "스타벅스, 미국내 매장 와이파이 무료" (서울=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 스타벅스가 미국 내 모든 매장에서 무료 와이파이(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뉴욕타임스(NYT) 인터넷판이 1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CEO(최고경영자)는 이날 뉴욕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AT&T와 제휴해 7월 초부터 매장에서 고객 누구나 무료로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야후와 제휴, 매장에서 접속 가능한..
드디어 국내에서도 지하철에서 무선랜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군요. 물론, 아직까지는 지하철 역사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지만, 조만간 미국이나 호주, 일본처럼 지하철 객차 내에서도 무선랜을 무료로 쓸 수 있는 날이 오겠죠 ^^ 서면·연산·덕천·수영·센텀시티역 5곳 서비스 부산 도시철도 서면역 등 5개 역사에서 와이파이(Wi-Fi) 무선인터넷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부산교통공사(사장 안준태)는 지난 7일부터 도시철도 서면·연산·덕천·수영·센텀시티역 등 5개 역사에서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부산교통공사는 이번 서비스를 위해 지난 4월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역을 선정하고, 5월 한 달동안 설계와 설치 작업을 완료하고 1주일간 시범운영을 통해 서비스 안정화 작업을 거쳤다. 5개 역 무선인터..
이와 비슷한 것으로 와이파이 핫스팟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www.wifiworld.co.kr 방문해 보세요 국내 와이파이 주소 DB로 구축된다 2010.06.10 15:32 입력 [KT-SKT-삼성전자 등 '공조'...美 '스카이훅' 모델 국내 출현] 국내 무선랜(와이파이) 위치정보(주소값)가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된다. 무선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 많은 사업자들이 위치정보 관련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KT, SK텔레콤, 삼성전자 등 통신서비스 및 제조, 포털 등 다양한 사업자들이 공동 출자해 무선랜 주소값 DB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LBS DB 구축'사업으로 추진되는 이번 건은 무선랜이 어디에 구축됐는지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 DB화하는..
SKT는 자사의 부족한 무선랜 인프라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무선랜 개방 전략을 채택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즉, 자사가 선제적으로 무선랜 인프라를 개방함으로써, KT나 LGT에도 똑같이 개방을 하라는 직간접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구요, 나아가 KT의 가입자들을 이탈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SKT가 구축한 무선랜 인프라는 현재의 판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월 말까지 약 750곳의 무선랜 핫스팟 존을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번에 1000곳 정도를 추가하면 약 2000곳 정도의 핫스팟 존을 제공할 수 있는 거죠. KT가 자사 스마트폰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제한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달리, 모든 통신사 가입자에게 무선랜 접속을 허용..
요즘 다양한 무선랜 서비스 모델 및 전략들을 살펴보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가입자 기반(subscriber base)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군요. 즉, KT의 네스팟처럼 월정액(1.5만원)을 낸 사람들만 핫스팟존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거죠. 최근 KT가 CGV, 롯데시네마, Hollys, GS25 등에 핫스팟 존을 늘리는 것은 이러한 유형입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KT의 네스팟 서비스 이용자나 스마트폰 이용자들만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마치 누구나 공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처럼 광고를 하고 있다는 거죠. 최근에는 다소 시정이 된 것 같긴 하지만, KT가 이런 불공정한 광고를 자행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추측컨데, 누군가가 무료로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들고..
과금 여부 - 2009년 3분기 기준으로 전세계 Wi-Fi 핫스팟의 80.5%가 유료 - 나머지 19.5%는 무료 - 미국의 경우 64.7%가 유료, 나머지 35.3%가 무료 국내 무선랜 시장 성장 - 2013년까지 연평균 19.8% 성장할 것으로 기대 - 2013년 시장 규모 1692억원 무선랜 표준 - Wi-Fi Direct: AP 등의 핫스팟 없이도 Wi-Fi 단말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P2P 개념의 새로운 Wi-Fi 기술 - 802.11e: 음성과 영상 등 실시간성 서비스를 위한 QoS 기능을 지원 - 802.11f: Wi-Fi AP간 핸드오버 기능 지원 - 802.11r: 신속한 로밍 제공
드뎌 아이패드를 주문했습니다. 아무래도 한글이 지원되야 다양한 어플도 편하게 쓸 수 있을 것 같아서 국내 출시까지 기다리려고 했는데, 언제 출시될지도 모르겠고 이번에 미국으로 2주간 출장을 가는 동료가 있어서 부탁을 했습니다. 가격이나 쓰임새 등을 고려해서 32G Wi-Fi 버전을 주문했는데요 아무래도 GPS와 USB 포트가 없는 것이 가장 아쉬울 것 같습니다. 2주를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600불 정도에 구매를 할 수 있고 케이스까지 함께 구매할 수 있어서 좋네요 ^^
요즘 TV 광고를 봐도 그렇고 신문 기사를 봐도 그렇고 KT는 마치 무선랜 기반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완전히 무료로 제공하는 것처럼 홍보를 하고 있다. '쿡앤쇼존에서는 무선 인터넷이 무료'라는 식의 말을 하는데 과연 이 말이 사실일까? 만약 이 말이 사실이라면 KT는 땅을 파서 먹고 살아야 한다. 즉, 무료가 아니라는 것이다. 쿡앤쇼존에서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네스팟 서비스를 가입해야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스마트폰 정액 요금제에 가입해야 한다. 그런 고객들은 해당 지역에서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지만, 나머지 KT 고객이나 일반인들은 무선랜을 절대 쓸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T는 자신들이 모든 고객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게..
요즘 통신업계의 화두는 단연 무선랜이다.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는 무선랜존을 얼마나 많이 보유하고 있느냐에 따라, 좋은 통신사와 나쁜 통신사가 나뉠 정도다. 그러나 사실 무선랜이라는 것은 통신사에게 그렇게 달가운 존재만은 아니다. 무선랜을 통해 ARPU가 높은 휴대폰 가입자를 많이 유치함으로써 매출과 수익률을 동시에 높일 수도 있다고는 하지만, 유무선 통신사가 하나로 통합된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유선 초고속 인터넷을 해지할 수도 있고, 이는 IPTV의 가입 해지로도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무선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20-30대 층은 1인 세대가 많기 때문에 그 역효과를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더 문제인 것은 아직까지 무선랜 그 자체가 적절..
지난 수요일(4월 28일) 서울시 다산콜센터의 제2회 기술세미나에서 발표했던 자료를 공유합니다. 첫번째 시간에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의 동향에 대해서 발표했구요, 두번째 시간에는 디스플레이 중심의 휴대 기기를 총칭하는 Display Only Device의 동향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 동향 자료에는 모바일 오피스의 개념, 도입 효과, 모바일 오피스 구현 기술 (가상화 기술, 모바일 컴퓨팅 기술, 무선 통신 기술), 모바일 오피스의 사례 (FMC 서비스), 모바일 오피스 적용 방향, 그리고 국내 이통3사의 전략 비교 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Display Only Device 동향 자료에는 DOD의 개념, 주요 DOD 장치 소개, DOD의 주요 특징 및 확산 배경, DOD의 활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