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스마트홈 & 스마트 비즈니스 (404)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독일의 루프탄자도 내년 1월 말까지 기내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네요. 미국의 상당수 항공사들이 기내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려 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럽 대규모 항공사도 움직임을 보이고 있네요. 다른 한편으로는 기내 무선랜이 테러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규제해야 한다는 움직임도 있으니 함께 관심을 가져 보세요. 일단 관련 기사 링크시킵니다: http://www.skyclub.com/news/2010/12/01/lufthansa-announces-free-access-wifi-on-aircraft-until-january-31st/ '기내' 혹은 'in-flight'로 제 블로그의 다른 글들도 검색해 보세요.
SKT 홈페이지에 들어갔다가, T 와이파이존 메뉴에서 T 와이파이존 찾기를 해 보았습니다. 제가 사는 수지 풍덕천동 번화가 주변을 검색해 봤더니 몇 개 보이더군요. 그래서, 요즘 사용하고 있는 LG유플러스의 u+zone (유플러스존)에 있는 와이파이월드(wifiworld)로 검색을 해보니 50-60개 정도 뜨더군요. 아파트 단지에 짙은 색은 한꺼번에 여러개가 겹쳐 뜨는 것 같으니, 적어도 100개는 될듯... 정말 SK텔레콤 무선랜은 안습입니다.
사무실에서 심심해서 테스트해 봤습니다.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네이버 초기화면 접속, 이후 뉴스 쪽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비교해봤습니다. 주소창에 진행 막대기가 생겼다가 사라지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아이패드 3G : 63초, 45초 아이패드 Wi-Fi : 10초, 8초 한번 테스트 한거라서 정확한 비교는 안 되겠지만, 대략 6배 정도씩 늦네요.. 와이파이 환경이 좋은 곳에서 테스트 한 거구요.. 태블릿용 웹페이지 용량이 스마트폰 웹페이지 용량의 6배 라는 것하고 우연하게도 일치하네요 ㅋㅋ 솔직히 저정도로 늦다면 3G 속터져서 어디 쓰겠어요? 아이패드 이용자가 더 많아지면 KT 3G망은 정말 대박이겠어요.. 괜히 애꾿은 3G 음성 이용자와 스마트폰 이용자들만 짜증나겠네요 ㅋㅋ
지난 29일 LG유플러스에서 전국에 100만 개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와이파이 서비스인 U+zone을 출시한다는 뉴스를 보고, 어제서야 신청을 해서 사용해 보았습니다. 접속 신청은 http://zone.uplus.co.kr에 접속을 해서 화면 왼편에 보이는 간편가입신청을 통해 사용자 확인을 하고 진행이 되더군요. U+인터넷과 OZ데이터 이용자만 무료라고 되어 있던데, U+인터넷 이용자라 함은 실제로 인터넷을 신청하고 돈을 내는 명의자 1인에 한정된다고 합니다. 아이폰&아이패드 카페에서 보니까 070 인터넷전화만 써도 U+zone을 쓸 수 있다고 되어 있는데, 그렇지는 않다고 하네요. 무선랜 AP를 공유하는 개념이긴 하지만, 그보다도 인터넷 트래픽을 공유하는 개념이라서 인터넷도 LG거, 옛날의 파워콤의 ..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 '유플러스존(U+zone)' 공개 2012년 와이파이AP 250만개, 와이파이존 8만곳 구축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 LG유플러스의 가정용 와이파이 AP와 와이파이존을 하나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와이파이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LG유플러스는 29일 서울 LG광화문 빌딩에서 이상철 부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간담회를 열고 LG유플러스의 와이파이망을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인 '유플러스존(U+zone)'을 공개했다. 'U+zone'은 유선망 기반으로 100Mbps의 와이파이 AP 100만개와 1만6천곳의 와이파이존을 원격으로 실시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하나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할 수 있..
LG U+ Wi-Fi 100에서 측정한 속도 최근 KT에서 와이파이와 3G 속도 비교 테스트를 하는 광고를 보내더군요.. 그래서, 우리집에서 사용하는 LG U+의 무선랜 속도는 어떤가 하고 측정해 보았습니다. 결과는 위에 보시는 거과 같은 32.7Mbps. KT의 26Mbps와는 비교가 안 되는 속도가 나오네요.. 다른데 KT 무선랜에서 측정했을 때는 3-4Mbps 밖에 안 나오던데.. 속도가 잘 나오는 몇몇 곳(아웃백 잠실점)에서 측정해 놓고, 마치 전부 그런 것처럼 광고하는 KT, 안습입니다. LG는 20%는 저정도 속도 나오고, 80%는 20Mbps 정도 나오는데.. KT는 일부 지역에서만 이 정도의 속도가 나오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3-4Mbps 속도밖에 안 나옴..
저 이러다가 LG 알바냐는 소리를 들을 것 같군요.. (사실 LG 직원입니다 ㅋㅋ) 최근에 ACN 비밀번호에 대한 검색 유입어가 많아서 관련 글을 썼더니, 방문자 수가 더 늘어나더군요. 그래서 다른 사람들 홈페이지도 다녀보고 했더니, 생각 이상으로 무선랜 공유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보안 이슈가 해결된다는 전제 하에 공유 하는 것을 바라고 있더군요.. ACN의 경우 AP(무선랜 공유기)의 소유주가 전체의 80% 정도의 대역폭을, 방문자가 20% 정도의 대역폭을 이용한다고 하네요. 즉, 최신 AP의 경우 주인은 80Mbps 정도, 손님은 20Mbps 정도 이용한다는 개념인데, 솔직히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의 성능이 그리 좋지않아서 저 정도는 안 될거에요.. 노트북으로 ..
최근 제 블로그의 검색 유입어를 살펴보니 LG유플러스에서 제공하는 무선랜(Wi-Fi)의 비밀번호가 무엇인지 궁금해 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더군요. 이전에는 myLGnet에 접속하면 1234~~로 된 비밀번호로 접속이 됐었는데, 최근에는 myLGnet도 없어지고 U+Net5B3C 처럼 이상한 SSID와 U+ACN이라는 SSID가 보이면서 옛날 비밀번호로 접속이 안 되고 말입니다. 이유인 즉은, 그동안 공개키를 이용하던 무선랜에 대한 보안 이슈가 제기 되고 있고, 암암리에 알려진 암호를 이용하여 무선랜 AP에 접속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고자 함입니다. 또한, LG U+ 고객들끼리만 해당 AP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정책이 바뀐 것입니다. 좀 더 설명을 하자면, LG 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