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ICT & ICS (108)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오늘 행사에서 제가 발제한 내용을 가장 정확히 정리한 기사라서 공유드립니다. ==========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화두다. 전 산업 영역에서 디지털화를 기반으로 생산성 제고, 서비스와의 융합 등을 시도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리나라는 주력 산업 영역인 제조업 경쟁력 제고 수단이자 활로로써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바라본다. 스마트팩토리 전환 등을 정책 과제로 추진한다.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제조·생산 관점에서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바라보다 다양한 비지니스 기회를 놓치고 있다. 중소기업 등 자본, 역량이 부족한 산업 주체 참여가 부진하고 동기도 이끌어 내지 못했다. 국회 4차산업혁명포럼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국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현황을 점검하고 전략을 보완하는 자리..
최근 5G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교육 요청이 잦습니다. 모 교육기관에서 8시간짜리 교육 요청을 하셔서 커리큘럼을 제공해 드렸는데요, 혹시라도 관련 교육이 필요하신 분들이 계시면 참고하시라고 공유해 드립니다. 또한, 아래 내용으로 8시간이 아니라 1시간, 2시간, 4시간 짜리로 특강 진행도 가능합니다. 특강이 필요하신 분들이 계시면 연락(010-사칠일일-일사삼사)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위 커리큘럼에 기술적인 내용들이 3시간 정도 들어가 있는데요, 기술보다는 5G 기반의 핵심 서비스나 산업 전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커리큘럼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산업기술진흥협회 발간물인 '기술과 혁신' 5월호에 기고한 글을 공유합니다. 이번호에는 '초연결/초지능화사회 기업의 기술개발 전략'이라는 주제의 특별기획이 실렸는데, 저는 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썼습니다. https://www.slideshare.net/honest72/ss-145750423 혁신을 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산업기술진흥협회 발간물인 '기술과 혁신' 5월호 특별기획 '초연결/초지능화사회 기업의 기술개발 전략'에 이라는 제목으로 기고한 글을 공유합니다. www.slideshare.net
모 기업에서 강의한 자료를 일부 업데이트 하여 공유합니다. 5G 기술이 무엇이며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소개하고, 5G 서비스의 주요 특징인 고속, 저지연, 대용량 특성에 대해 주요 응용 사례와 함께 소개합니다. 또한, 이러한 특성들을 가능하게 하는 5G 구현기술들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소 구체적인 내용들도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구현기술들을 개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놓았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5G 서비스 제공 현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https://www.slideshare.net/honest72/5g-5g-technology-and-services-20190511 5G 기술과 활용 (5G technology and services) - 2019.05.11 본 자료는..
매년 봄이면 페이스북의 F8, 마이크로소프트의 빌드(Build), 구글 I/O 행사로 정신이 없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아마도 구글 I/O일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도 구글 I/O와 MS의 빌드 행사 내용에 주목을 하고 있구요. 구글 I/O 2018이 인공지능이 합성한 목소리로 미용실 예약을 받았던 듀플렉스나 구글렌즈와 같은 혁신적인 기능/서비스로 큰 주목을 받았다면, 이번 구글 I/O 2019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Wow'는 없지만 기존에 와우했던 기술들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진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행사였던 것 같습니다. 이런 노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구글 홈의 프리미엄 버전인 네스트 허브 맥스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네스트 허브 맥스는 말 그대로 기존의 구글 홈에 카메라를 추..
아마존에서 2018년 말에 출시한 AmazonBasics Microwave Oven의 데모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조리할 식재료 버튼을 찾아서 식재료의 양에 맞게 가열 시간을 조절하거나 혹은 직접 가열 시간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용하게 되는데요, 아마존 전자레인지는 음성명령을 이용해서 가열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전자레인지에 음성인식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니구요 기존에 사용하던 아마존 에코와 함께 이용을 해야 합니다. 직접 에코에 대고, "Alexa, heat one cup of coffee."처럼 이야기하면 1분 15초를 가열해 주는 식입니다. 물론, 전자레인지에 있는 ASK Alexa 버튼을 누르고 "Heat one cup of coffee."라고 말해도 됩니다. 즉, 알렉사 호출 버..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로봇의 현황과 미래에 대해 소개하는 자료를 공유합니다. 로봇에 대한 깊은 이야기보다는 트렌드나 사례 중심으로 소개를 해달라고 해서 관련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리를 했습니다. 구체적인 설명이 포함되지 않아서 내용만 보고 이해하시기는 어렵겠지만, 최근 어떤 로봇들이 소개되고 있고 어떤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로봇과 관련해서 어떤 이슈들이 있는지는 대략 파악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https://www.slideshare.net/honest72/ss-140856821 로봇의 현재와 미래 대전인재개발원에서 4월 초에 강의를 했고 다음주에 다시 강의를 할 로봇 관련 자료를 공유합니다. 로봇에 대한 깊은 이야기보다는 트렌드나 사례 중심으로 소개를 해달라고 해서 관련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리를 ..
오늘 오전에는 판교에 있는 SK 판교 캠퍼스에서 개최된 SK주식회사 C&C의 협력사 CEO 행사(Biz Partner CEO Seminar)에서 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최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혹은 디지털 전환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그래서 저도 작년까지 2년 정도 SK주식회사에서 디지털 전환에 대한 교육을 하고 했는데, 최근에는 디지털라이제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더군요. 그래서, 용어에 대한 정의를 통해 두 용어의 차이를 설명드리고 디지털 전환을 하는 방법 및 그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아볼 수 있도록 설명을 드렸습니다. 중소기업 대표님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19년 3월 11일(월) 미국의 상원 및 하원은 사물인터넷 사이버보안 개선법(IoT Cybersecurity Improvement Act)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2018년 9월에 통과된 사물인터넷 보안과 관련된 미국 최초의 법안인 캘리포니아의 SB 327과는 다른 성격의 것으로, 법안이 통과되면 연방 기관들은 사물인터넷 장치의 보안에 대한 NIST의 지침을 따라야 한다. 정부 기관들이 사물인터넷 제품의 가장 큰 수요처 중의 하나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법안은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 법안에서는 NIST가 IoT 장치에 대한 권장 표준을 개발하도록 요구할 것이며 예산처(OBM)가 기관들에게 관련 지침을 배포할도록 명시하고 있다. 또한, NIST는 취약점 공개에 대한..
NodeMCU로 시작하는 사물인터넷 DIY 교육 사물인터넷이나 4차 산업혁명과 같은 키워드의 등장은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수많은 소프트웨어 교육과 학원들이 등장하고 있고 다양한 사물인터넷 메이커 교육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의 교육들이 그랬듯이 입시나 내신 위주의 교육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큽니다. 일례로 그 동안의 사물인터넷 메이커 교육은 말만 사물인터넷이었지 ‘통신’ 기능이 빠진 반쪽짜리 교육이었습니다. 즉, 스케치로 코딩을 해서 LED를 켜거나 센서값을 읽어들이고 모터를 제어하는 정도였죠. 단순히 센서나 엑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것에 그쳤습니다. 아두이노에 통신 기능이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교육들도 존재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