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85)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다 이유가 있었군요. 이래서 SKT가 여러 유통업체들을 돌며 무상으로 무선랜 인프라를 설치해주겠다고 하는 거였군요.. SKT 와이파이 잘 안잡히는 까닭은 최근 갤럭시S로 휴대폰을 바꾼 직장인 한주열 씨(36)는 무선인터넷(와이파이)으로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으려다 화가 났다. 와이파이에 접속됐다는 신호는 나오지만 실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씨는 "갤럭시S는 다른 기능은 좋은데 와이파이가 잘 안잡혀 불만이다. 요즘엔 아예 와이파이를 꺼놓고 다닌다"고 하소연했다. 갤럭시S의 누적 판매량이 70만대를 돌파하면서 와이파이 접속 불만을 제기하는 사용자도 늘어나고 있다. SK텔레콤이 와이파이 장소(T와이파이존)를 연내 1만5000개로 늘리겠다고 발표하면서 가입자들의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기..
최근에 LG U+에서 100Mbps 무선랜인 U+ 100을 출시하자 KT는 적잖이 당황한 모습이다. 며칠이 지나지도 않았는데, 한술 더 떠서 150Mbps 무선랜 허브를 출시한다고 발표한 것이다. 사실 까놓고 보면, 두 무선랜 상품에 사용되는 무선랜 AP는 802.11n을 지원하는 것으로, 최고 속도는 130Mbps 정도 밖에 안 나오는 제품들일 것이다. 우리가 802.11n이 600Mbps가 나온다고 알고 있는 것은 MIMO, 즉 동시에 안테나를 여러 개 사용해서 동시에 여러 개의 무선신호를 보낼 수 있게 하고 빔포밍이나 채널본딩, OFDM 등 6가지 기술들이 모두 적용됐을 때 나올 수 있는 속도다. 일반 AP처럼 달랑 안테나만 2개 달린 802.11n AP로는 잘 해야 120-130Mbps 정도 나올..
LG데이콤, LG텔레콤, 그리고 LG파워콤이 하나가 되어 탄생한 LG U+의 무선통신 로드맵과 최근에 추진하고 있는 무선랜 기반의 ACN (AP Centric Network)의 개념 및 특징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자료 다운로드는 아래 링크에서.. http://hykim.net/Research/lguplus_roadmap.pdf
http://hykim.net/Research/wireless_comm.pdf 이 자료에서는 무선통신을 Nomadic과 mobile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무선랜 기술, 그리고 이동통신의 세대 구분 및 세대별 특징, WiMax와 Wibro의 차이점, LTE의 특징 등을 요약해 놓았습니다. 대우증권에서 발표하기 위해 작성했던 자료의 일부입니다. 2G의 최대 속도는 2.4Mbps 3G, WCDMA의 최대 속도는 7.2Mbps WiBro의 최대 속도는 14.4Mbps 중요한 것은 이동통신의 최대 속도는 한 사용자가 누릴 수 있는 최대 속도가 아니라, 이동통신망의 한 섹터에서 제공하는 속도라는 거죠. 즉, 한 섹터에 한 명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는 그 사람이 최대 속도를 누릴 수도 있..
최근 SK텔레콤에서 무선랜 핫스팟을 연내 1만 5천개 구축한다고 발표를 하더군요. KT와 정면으로 대응하면서 스마트폰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한 목적인지, 아니면 자사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생색내기 수준의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어쨌거나, 지난 6월말까지 5천 곳의 핫스팟을 구축했다고 하는군요. SKB와의 관계도 좋지 않은데다, KT 및 LG U+에 요청한 회선청약도 거절당한 상태라서 지난 3개월 동안 5천 곳의 무선랜 핫스팟을 구축하는 것이 쉽지 않았을텐데 용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알아보니, 회선 개통이 되지 않는 곳은 SKT의 3G/와이브로 모뎀을 이용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하긴, SKT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니까, 이런 접근방법이 당연..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ACN 기반의 무선랜 인프라, 그리고 개인향 클라우드 서비스와 함께 사용된다면 그 어는 조합보다 강력할듯.. 기대된다. LG유플러스도 `갤럭시 U` 낸다 매일경제 LG유플러스가 이달 말 '갤럭시U'를 출시하고 스마트폰 경쟁에 본격 뛰어든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삼성전자 차세대 스마트폰 '갤럭시U'를 이달 말 출시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가 내놓는 갤럭시 스마트폰 모델명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이 기업이미지(CI)와 통일성을 기하자는 의도로 이름을 낙점했다. 갤럭시U로 유비쿼터스(Ubiquitous) 세상을 선도하겠다는 뜻이다. 갤럭시U는 3.7인치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플러스(+) 디스플레이와 1기가헤르츠(㎓) 퀄..
요즘 IBM의 Smart Space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똑똑한 공간이라는 개념이구요, 이러한 Smart Space들이 모이면 Smarter Planet이 된다고 하는군요. Smart Space의 주요 특징은 3I로 이야기 될 수가 있는데요, 3I라 함은 Instrumented, Interconnected, 그리고 Intelligent 입니다. 뒤의 두 가지야 그대로 와닿던데, Instrumented는 확 와닿지 않더군요. 그래서 자료를 좀 찾아보았는데요,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고 하네요. Instrumented란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 입장에서 서비스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구별되지 않는 것/공간을 말한다고 합니다. 즉, 내가 받는 서비스가 어떤 장치를 통해 주어지는 것 보다는..
향후 LG U+의 무선랜 정책의 단면을 엿볼 수 있는 기사입니다. 앞으로 좀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들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G U+ ‘100메가 무선랜’ 보급 파이낸셜뉴스 원문 기사전송 2010-07-15 18:20 앞으로 LG U+의 오즈(OZ) 특정요금제에 가입한 고객은 도심 주요지역에 구축되는 무선랜(Wi-Fi) 접속장치(AP)로 인해 인터텟을 무료로 쓸 수 있게 된다. 이는 KT가 휴대폰 통합요금제에 가입하는 이들에게 이 회사 AP를 무료 개방하는 것과 같은 전략으로 이동통신사 간 통신망 경쟁이 본궤도에 올랐다. SK텔레콤처럼 모든 가입자가 이 회사 AP를 공짜로 쓰게 하는 것과는 다른 방향이다. 또 그동안 일반인이 공유해 쓸 수 있었던 LG U+의 가정용 AP 180만대는 공유되지 않고 신청자..
스마트폰 이용자의 77%가 교통수단 이동 중 사용한다고 하네요. 그 중 상당수가 이메일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도 주목할만합니다. `스마트폰 이용자 77%, 교통수단 이동중 사용` 이데일리 | 양효석 | 입력 2010.07.14 19:58 - 방통위,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결과 발표 - 스마트폰을 이용 하루평균 1시간 인터넷 - 모바일앱 평균 23.1개 설치후 9.1개 이용 [이데일리 양효석 기자] 스마트폰 이용자는 주로 이동중인 교통수단 안(77.0%)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며, 하루평균 1시간 인터넷을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5월10∼19일 스마트폰 이용자 15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보급으로 삶의 방식..
- 와이파이 계획은. ▲ 5월 말까지 1만개 국소정도 설치할 것이다. 그런데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면 와이파이가 필요 없다. 우리나라 전국을 놓고 사람들 많이 모이는 곳 보면 1만개가 넘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와이파이존이 무한정 설치하는 것은 아니다. 말레이시아의 패킷원도 65% 커버리지를 생각한다. 즉 65%정도가 사람이 모이는 장소고 나머지는 흐트러져 있다는 것이다. 와이파이 경우도 1만 곳 깔면 모두 커버가 된다고 본다. 5000형을 추가로 하는 것은 고정형이 아니라 이동형이다. KT가 몇 개소, SK텔레콤이 몇 개소 하는 것은 이제 안맞는 이야기다. 와이파이에 속도가 얼마나냐는 퀄리티를 봐야 할 것이다. 서울광장에서 잡히는 와이파이만 150개다. 서로간에 간섭을 해서 속도가 현저히 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