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Matter (44)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멀티어드민(multi-admin)을 지원하는 매터 표준 기반의 홈네트워크의 간단한 예를 그려보았습니다. 간단하다고 했지만, 다양한 케이스를 모두 추가하려 하다보니 조금 복잡합니다. 일단 삼성의 스마트싱스와 애플의 홈킷만 존재하는 경우구요, 각각 스마트싱스 스테이션과 홈팟미니가 컨트롤러 및 쓰레드 보더 라우터(TBR)의 역할을 합니다. 즉, 두 장치는 쓰레드를 지원한다는 거죠. 따라서, 쓰레드를 지원하는 장치들(가는 실선으로 연결), 예를 들면 움직임센서, 스마트센서, 문열림 센서가 각 장치에 연결되어 있구요, 이중에 스마트 램프는 두 TBR에 연결되어 멀티어드민(ma)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스위치와 스마트 플러그는 와이파이를 지원(동그란 점선으로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스마트 플러그는 ..
Matter over Thread를 지원하는 아카라의 도어 & 윈도우 센서 P2입니다. 기존 아카라 제품들과 달리 쓰레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쓰레드 보더 라우터(Thread Border Router)를 필요로 합니다. 센서에 버튼까지 추가했는데, 어떤 필요가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괜히 버튼 추가해서 가격만 30불로 비싸게 만든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는 판매되지 않습니다. https://www.amazon.com/dp/B0BTL8B72D/ref=sspa_dk_detail_0?psc=1&pd_rd_i=B0BTL8B72D&pd_rd_w=SLXnp&content-id=amzn1.sym.f734d1a2-0bf9-4a26-ad34-2e1b969a5a75&pf_rd_p=f734d1a2-0bf9-4a26-ad34-2e..
아마존 검색을 하다가 Onvis라는 회사의 스마트 플러그를 발견했습니다. Matter over Thread를 지원하는 제품인데요, 120V 전용인데다 한번에 두 개를 구매해야 하는 제품입니다. Onvis 홈페이지에 가니 S4EU라는 220V를 지원하는 유럽향 제품도 있기는 합니다만, 판매하는 곳이 없습니다 ㅠ https://www.amazon.com/Compatible-Responsive-Control-Schedule-Grouping/dp/B0C143YZY6/ref=sr_1_3?crid=D1CXNEX9MJCF&keywords=matter+smart+home+thread&qid=1690788832&s=home-automation&sprefix=matter+smart+home+threa%2Cspecialty..
매터 표준이 출시된지 어느덧 9개월이 지났고, CES에서 매터 관련 제품들이 선보인지도 6개월이 지났지만, 아직도 아마존이나 베스트바이 혹은 동네의 일반 소매점에서 매터 디바이스를 찾아보는 것은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실제로 아마존에서 Matter로 검색을 하면 매터 디바이스를 찾을 수 없습니다. Matter와 Device 혹은 Smart Home 같은 키워드를 함께 이용해야만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이 되더라도 고작 4-5 종류의 디바이스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중국의 알리에서도 상황은 비슷하죠. CES에서 만나본 기업들 이야기로는 적어도 2-3분기 후에나 공식적으로 유통될 거라고 했습니다. 제품을 인증받고 유통 체계를 마련하고 양산하고 유통하는데 적어도 2분기 이상 걸리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런 ..
스마트 조명 전문기업인 시그니파이는 다양한 조명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일반 스마트 램프에서부터 아래 보이는 Hero와 Squire 같은 스마트 조명 제품도 판매하고 있죠. 지난 4월에 모 행사에서 Signify 마케팅 담당자를 만나게 되었는데요, 제 유튜브와 블로그를 자주 보신다고 하면서 자신들의 제품을 이용해 볼 수 있게 협찬해 주시겠다고 합니다. 그래서 뒤늦게 제품을 받고 뒤 늦게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제가 해보고 싶었던 것은 매터 표준을 이용한 멀티어드민과 스페이스센스(SpaceSense) 기능이었습니다. 그런데, 일단 스페이스 센스는 생각보다 잘 안 되는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이건 다음에 더 테스트 하고 결과를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구요, 오늘은 매터 멀티어드민 영상만 공유해 드리도록 하..
매터 표준을 지원하는 디바이스 리스트입니다. 매터 표준을 지원하는 장치들이 속속 출시되자 이런 글들도 자주 보이네요. 물론, 이 중에서 국내에서 구매할 수 있는 것은 컨트롤러(스피커) 일부 빼놓고는 없습니다. 그러나, 하반기부터는 국내에서도 판매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https://www.theverge.com/23568091/matter-compatible-devices-accessories-apple-amazon-google-samsung All the smart home products that work with Matter Here are all the Matter controllers, Thread border routers, and certified Matter devices (hopefull..
엇그제인 5월 3일, 아마존은 iOS에서도 매터 디바이스를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즉, 애플의 아이폰에서도 아마존의 알렉사 앱을 이용해서 매터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후다닥 해 보았는데 안 되더군요. 알렉사 앱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했는데, 매터 디바이스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오늘 새벽에 위와 같은 내용의 이메일이 도착해 있어서 다시 시도하니 매터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이폰에서 알렉사 앱(Alexa)으로 매터를 지원하는 TP-Link의 Tapo 스마트 플러그를 등록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삼성 스마트싱스 플랫폼에 멀티어드민으로 디바이스를 공유하는 과정도 해 보았습니다. 이 내용들을 정리한 글을 공유합니다...
23년 3월 16일 보도된 자료에 따르면, 애플 액세서리로 유명한 벨킨(Belkin)이 스마트홈 디바이스 브랜드인 위모(WeMo)의 매터(Matter) 표준 지원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그 이유는 매터 기반의 스마트홈 환경에서 위모 디바이스가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가 불가하다는 것입니다. 제가 이전의 여러 강연이나 블로그 글, 유튜브 동영상(김학용 IOTV) 등을 통해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매터는 플랫폼의 경계를 무너뜨리기 때문에 매터를 지원하기만 한다면 어떤 디바이스든 모든 플랫폼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이 말은 디바이스들 사이의 차별화가 불가능하며 더 이상 특정 플랫폼의 보호를 받는 것이 어렵게 된다는 것입니다. 벨킨도 이 사실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벨킨의..
매터 표준이 발표(2022년 10월 4일)된지도 어느덧 5개월이 지나갑니다. 지금까지 매터 인증을 받은 장치 및 소프트웨어만 해도 700개가 넘는다고 하는데, 아직까지 손에 잡히는 제품은 없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이 거의 유일한 제품인 것 같습니다. 물론, 기존에 구매해 놓았던 스마트 스피커나 스마트 디스플레이도 펌웨어 업데이트만 하면 쓰레드 보더 라우터 혹은 컨트롤러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문제는 여기에 붙여서 이용할 매터 인증 장치들이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신문 기사를 보면 Eve Systems는 이미 3종의 제품을 출시했다고 하고, 제가 공유한 자료에서도 몇몇 출시된 제품들을 소개하고 있기는 한데요, 문제는 국내에서 구매해서 이용할 수 없다는 것입..
최근 두곳의 신문사와 인터뷰를 했고 그 내용이 기사화 되었습니다. 3월 20일부터 서울에서 Matter 표준을 주도하는 CSA 정례회의가 열리면서 기업들도 관심을 갖는 모양입니다. 매터 표준이 본격적으로 도입이 되면 그동안 말만 많았던 스마트홈 시장이 과연 꽃을 피울 수 있을지 궁금해 하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매터 표준은 올해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관련 제품들이 출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올해 하반기에는 지금보다 더 많은 분들이 편리하게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이용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스마트홈 시장이 본격적으로 펼쳐질까 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고개를 갸우뚱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스마트홈 사업을 하는 주요 기업들이 고객 관점이 아닌 공급자 관점에서 스마트홈 시장을 바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