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스마트홈 (74)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매킨지의 홈서비스 로봇 분류인데요, 보시는 것처럼 Master Bot, Service Bot, 그리고 Niche Bot으로 분류합니다. 니치 봇은 로봇 청소기 같은 개벌 업무에 특화된 로봇이구요, 서비스 봇은 미디어를 관리한다거나 혹은 식료품 쇼핑을 관할하는 특정 분야에 특화된 로봇이구요, 마스터 봇은 이들을 모두 관할하는 로봇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홈서비스 로봇이 단순히 허드렛일만 하는 하드웨어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위 그림에서도 보이는 것처럼, 다양한 형태의 로봇(서비스봇과 니치 봇)을 통해 서비스 사업자들은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즉, 서비스 로봇은 서비스를 전달하는 새로운 채널로 활용된다는 것입니다.
Full HD를 지원하는 저가형 크롬캐스트가 출시되었네요. 정식 명칭은 Chromecast with Google TV HD입니다. 가격이 29달러인데요, HD를 지원하던 기존 제품 가격이었던 35달러보다 저렴하구요, 4K를 지원하는 제품의 49달러보다 저렴합니다. 저는 지난 프라임데이 기간에 4K 지원 제품을 39달러에 할인해서 구매했었는데요, 집에 TV도 Full HD만 지원하고 4K를 지원하는 컨텐츠도 많지 않아서 좀 저렴하면서 Full HD를 지원하는 제품이 나와주면 좋겠다 했는데, 그런 제품이 출시됐네요. 4K 제품에 비해 가격이 20달러나 저렴하다 보니 메모리 용량이나 성능이 다소 떨어집니다. 1.5GB RAM과 8GB 온보드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고 Amlogic S805X2 칩셋으로 구..
지난 5월에 매터와 관련된 뉴스를 업데이트 한 후 바빠서 후속 업데이트를 공유하지 못 했습니다. 오늘 잠깐 짬을 내어 최근 있었던 매터 관련 주요 뉴스들, 그리고 관련하여 HCA와 관련된 내용들을 하나로 모아봤습니다. 주된 내용은 IFA 2022에서 있었던 매터(matter) 관련 전시 및 시연에 대한 내용, 애플 및 안드로이드 OS에서 Matter Accessories 메뉴 추가 소식, 그리고 매터 회원사 증가 현황, 실리콘랩스의 매터 관련 가상 워크샵, 10월에 있을 지능형사물인터넷 국제 컨퍼런스에서 발표하는 내용 등입니다. https://youtu.be/4yknH7YR87s 혹시라도 5월에 공유했던 매터 관련 소식들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g..
아이폰의 iOS 16.1 및 아이패드의 iPadOS 16.1에서 매터 표준을 지원하는 옵션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구글의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서도 동일한 메뉴가 발견되었다네요. 9월 말에서 10월 초로 예정된 매터 표준의 발표를 앞두고 주요 스마트폰 운영체제에서 매터를 지원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습니다. 위 사진은 아래 Aaron Zollo의 트윗에 포함된 이미지인데요, 아이폰의 설정에서 일반(General)을 선택하면 그 안에 Matter Accessories 메뉴가 추가된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https://twitter.com/zollotech/status/1570103277835911170?ref_src=twsrc%5Etfw%7Ctwcamp%5Etweetembed%7Ctwt..
CES가 연초에 열리는 것과 달리 IFA는 9월 초에 개최죕니다. 이번 IFA는 3년만에 오프라인에서 개최됐지만, 추석 연휴를 앞두고 개최되는 바람에 그렇게 크게 주목받지는 못 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CES에서보다도 더 많은 공을 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이런 내용들을 삼성 뉴스룸을 통해 다양한 사진 및 동영상과 함께 소개하고 있는데요, 그 내용을 공유합니다. 삼성전자는 IFA 2022에서 두 가지 주제로 참여를 했습니다. 하나는 Everyday Sustainability(지속가능한 일상)이구요, 다른 하나는 Do the SmartThings!(스마트싱스하라)입니다. 그래서, 뉴스룸에서도 이 두 주제에 대한 내용과 삼성전자가 전시한 제품들이라는 세 가지 글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htt..
지난 번에 브런치에 WWDC 2022에서 소개된 스마트홈 관련 내용을 정리해서 공유드린 적이 있었는데요, 거기에 약간 더 내용을 추가해서 동영사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많은 시청, 구독, 좋아요,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동영상에 포함된 주요 내용들은 iOS16에서 홈 앱의 변화 모습 및 주요 기능 소개, 매터 표준 지원, 홈키(HomeKey) 지원 기업의 증가 및 패스키(PassKey)로의 확대 적용, 카플레이(CarPlay), A16 칩셋 사용 등입니다. 이 외에 아이패드가 홈 허브로 사용될 수 없다는 내용도 들어가 있는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EWp2PzcCu-U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홈 연동 표준인 매터에 대한 최신 소식들을 모아봤습니다. 표준 발표 일정이 가을로 미뤄지게 됐고, 그래서 삼성과 구글도 10월에 관련 제품 및 기능들을 함께 소개할 거라는 등 다양한 뉴스들이 담겨 있습니다. 동영상 보시면서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리고 공유도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몇몇 기업에서는 강의를 진행한 바 있는데요, 매터 기반의 전략을 고민하시는 기업들에서는 연락 부탁드립니다. https://youtu.be/gNn6DSSULKc 아래 동영상에서는 상기 업데이트 후 9월 17일까지의 주요 뉴스를 모아보았습니다. https://youtu.be/4yknH7YR87s
4월 초 주간기술동향에 발표한 "개방형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의 주요 특징과 시장전망" 글을 보고 기사를 쓰셨네요. 아무튼 인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학용 IoT 전략연구소장은 "매터가 디바이스의 연결, 플랫폼의 연동 문제를 해결해주면서 스마트홈 관련 이슈를 디바이스에서 서비스로 전환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소장은 “산업 간 경계가 무너지는 빅블러(Big Blur) 시대에는 가장 먼저 도전하며 시장을 이해하려고 하는 기업에게 기회가 돌아갈 것”이라며 “스마트홈 산업을 관할하는 정부부처도 단순히 디바이스 제조사만 지원하기 보다 서비스 사업자의 지원을 통해 제조사도 함께 성장하도록 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www.koit.co.kr/news/articleView.ht..
점심 먹고 "매터 표준"에 대해 인터뷰한 내용이 경향신문에 실렸습니다. 매터가 등장한 이후의 스마트홈 생태계가 어떻게 바뀔지에 대한 내용들이 있으니 함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https://www.khan.co.kr/economy/market-trend/article/202202211652001 삼성 TV와 LG 냉장고, 애플 아이폰이 연결된 ‘스마트홈’ 가능해진다 사물인터넷 통신표준 ‘매터(matter)’ 올 상반기 발표 국내 중소업체 기회이자 위기…“잘 대비해야... www.khan.co.kr
CES Daily는 CES 2022에서 가장 주목해야 하고 가장 잠재적인 영향력이 큰 기술로 매터(Matter)를 선정했다고 합니다. 또한, 포브스는 11일자 기사에서 IoT Connectivity 전쟁의 승자는 매터와 쓰레드라고 하기도 했습니다. 이번에는 CES 2022에 최대 관심사였던 Matter 동향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포브스는 매터와 쓰레드가 IoT 연결 전쟁에서 이겼다고 선언했다 매터(Matter) 표준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매터를 설명하면, 사물인터넷을 위한 만국공통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기존에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별로 독자적인 데이터 포맷이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사물인터넷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했습니다. 아마존의 알렉사를 이용해서 스마트홈을 구축한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