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무선랜 (51)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무선랜 AP의 숫자가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자사 고객만 이용할 수 있다던지, 별도의 요금을 내야 한다면 그림의 떡이 되지 않을까요? 최대한 개방을 하고, 사용자 기반의 수익 모델을 발굴해 내는 게 더 정답일 것 같습니다. 통합LGT, 170만개 무선랜 AP 통해 '공짜 인터넷' 제공 스마트폰 시장이 확대되면서 이동통신사들의 무선랜(Wifi) 확보 경쟁이 본격적으로 점화되고 있다. KT와 SK텔레콤이 주요 대도시에 와이파이 존 설치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통합LG텔레콤이 국내 최대 인터넷 전화 서비스인 'myLG070' 가입자들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AP)의 공용 전환에 나섰다. 15일 통합LG텔레콤은 서울 남대문로 통합LG텔레콤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myLG070' 가입자들의 무..
이와 비슷한 것으로 와이파이 핫스팟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www.wifiworld.co.kr 방문해 보세요 국내 와이파이 주소 DB로 구축된다 2010.06.10 15:32 입력 [KT-SKT-삼성전자 등 '공조'...美 '스카이훅' 모델 국내 출현] 국내 무선랜(와이파이) 위치정보(주소값)가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된다. 무선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 많은 사업자들이 위치정보 관련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KT, SK텔레콤, 삼성전자 등 통신서비스 및 제조, 포털 등 다양한 사업자들이 공동 출자해 무선랜 주소값 DB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LBS DB 구축'사업으로 추진되는 이번 건은 무선랜이 어디에 구축됐는지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 DB화하는..
SKT는 자사의 부족한 무선랜 인프라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무선랜 개방 전략을 채택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즉, 자사가 선제적으로 무선랜 인프라를 개방함으로써, KT나 LGT에도 똑같이 개방을 하라는 직간접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구요, 나아가 KT의 가입자들을 이탈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SKT가 구축한 무선랜 인프라는 현재의 판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월 말까지 약 750곳의 무선랜 핫스팟 존을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번에 1000곳 정도를 추가하면 약 2000곳 정도의 핫스팟 존을 제공할 수 있는 거죠. KT가 자사 스마트폰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제한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달리, 모든 통신사 가입자에게 무선랜 접속을 허용..
요즘 다양한 무선랜 서비스 모델 및 전략들을 살펴보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가입자 기반(subscriber base)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군요. 즉, KT의 네스팟처럼 월정액(1.5만원)을 낸 사람들만 핫스팟존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거죠. 최근 KT가 CGV, 롯데시네마, Hollys, GS25 등에 핫스팟 존을 늘리는 것은 이러한 유형입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KT의 네스팟 서비스 이용자나 스마트폰 이용자들만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마치 누구나 공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처럼 광고를 하고 있다는 거죠. 최근에는 다소 시정이 된 것 같긴 하지만, KT가 이런 불공정한 광고를 자행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추측컨데, 누군가가 무료로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들고..
과금 여부 - 2009년 3분기 기준으로 전세계 Wi-Fi 핫스팟의 80.5%가 유료 - 나머지 19.5%는 무료 - 미국의 경우 64.7%가 유료, 나머지 35.3%가 무료 국내 무선랜 시장 성장 - 2013년까지 연평균 19.8% 성장할 것으로 기대 - 2013년 시장 규모 1692억원 무선랜 표준 - Wi-Fi Direct: AP 등의 핫스팟 없이도 Wi-Fi 단말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P2P 개념의 새로운 Wi-Fi 기술 - 802.11e: 음성과 영상 등 실시간성 서비스를 위한 QoS 기능을 지원 - 802.11f: Wi-Fi AP간 핸드오버 기능 지원 - 802.11r: 신속한 로밍 제공
이익을 추구해야 하는 기업의 입장으로써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하는 것이 무선랜 서비스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기존의 방식으로 돈을 벌려고 하니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구요, 돈버는 방식(비즈 모델)을 달리한다면 새로운 돌파구가 나올 것 같습니다. 궁금하면 저에게 개인적으로 문의 바랍니다. KT 와이파이존 설치 너무 수익성만 따진다 헤럴드경제 | 입력 2010.04.21 08:48 KT '와이파이(무선랜) 존'의 지역 및 장소 쏠림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공서나 터미널 등 공익적 장소에서는 무선랜 설치의 우선순위가 밀리고 대학ㆍ백화점ㆍ커피숍 등 젊은 층이 많은 곳으로만 몰리고 있다. 현행 1만3000곳의 무선랜 존을 연말까지 3만7200곳으로 늘리겠다는 KT의 계획 역시 수익성 위주로 갈 수밖..
지난 주 미국에서는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서는 큰 의미가 있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Cablevision, Comcast, 그리고 Time Warner Cable이 자신들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고객들이 뉴욕 지역에서 추가 부담 없이 타사 무선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세 개의 Wi-Fi 서비스는 Optimum Wi-Fi, Time Warner Cable Wi-Fi, 그리고 Xfinity Wi-Fi인데요, 아직까지는 해당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인증 프로세스를 거쳐야 하는데 이를 통합하는 일이 남은 것 같네요. 국내의 경우 LG텔레콤이 170만 정도의 무선랜 AP를 보유하고 있고, KT가 5만 정도의 AP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LG텔레콤이 주거..
내달 1일부터 7개 KTX 역사에서 무선인터넷을 무료로 즐길 수 있게 됐다. KT는 한국철도공사와 함께 4월1일부터 전국 KTX 7개 주요 역사와 승강장 스토리웨이 매점 주변에서 누구나 무료로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와이파이존(쿡앤쇼 존)을 구축했다고 31일 밝혔다. 와이파이존이 구축된 7개 역사는 서울·용산·천안아산·광명·대전·동대구·부산역 등이다. KT는 오는 4월말까지 나머지 16개 KTX 역사와 56개 새마을호 및 무궁화호 주요 역사에도 구축하고, 향후 인천공항철도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KT는 KTX역사에 구축된 쿡앤쇼 존을 오픈, KT 고객이 아니더라도 철도 이용고객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와이파이 사용이 가능한 노트북으로 무료 무선 인터넷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구축..
우연히 웹서핑을 하다가 발견한 곳인데요, Wi-Fi World (http://www.wifiworld.co.kr)라는 사이트가 있더군요. 무선랜 AP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해 주는 곳인데요, 개방된 무선랜 AP를 보여주는 것인지 모든 무선랜 AP 위치를 보여 주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름 무선랜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던지, 무선랜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 같더군요.. 예전에 외국 사이트를 검색했을 때, 이와 유사한 사이트들이 몇 개 발견되었고, 그 때마다 내가 직접 개발을 해봐? 하는 생각도 했었는데, 프로그램 능력도 없고 추진력도 없어서 못 했는데, 결국은 누군가 했군요. 아주 깔끔하고 체계적이고 070이 있는 것으로 봐서 LGT(구 LG데이콤)에서 개발하지 않았을까 하..
며칠전 애플의 CEO인 스티브잡스가 애플의 차기 병기인 아이패드(iPad)를 발표했다. 아이슬레이트(iSlate)가 될지 아이패드가 될지 의견이 분분했고, 가격은 1000불 수준일지 500불 수준일지 궁금해 했고, 메모리의 용량이며 주요 어플리케이션은 어떤 것들이 있고 언제 출시될 지에 대해 궁금해 했다. 여전히 초췌해 보이는 모습으로 등장한 스티브 잡스는 특유의 프리젠테이션 기법으로 이 모든 것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줬다. 이전에 제품들이 발표될 때처럼, 발표 중간중간 청중들 사이에서는 환호와 박수가 터져나왔고 언론은 이를 대서특필하기에 정신이 없었다. 자 그럼 이제 아이패드를 어디에 쓸 것인가,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자. 일각에서는 아이패드는 넷북도 아니요 이북리더도 아니요 PMP도 아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