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Generative AI (33)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9월 20일(현지시각) 아마존은 2023년 하드웨어 이벤트를 개최했습니다. 여느 해처럼 올해도 Echo Show 8, Echo Hub 같은 에코 장치에서부터 Fire TV Stick 같은 제품, 그리고 자회사인 Blink의 새로운 카메라 등 다양한 제품들을 소개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주목을 끈 것은 당연히 생성형 인공지능인 Alexa LLM이었습니다. 아마존은 24년 초부터 기존의 Alexa 지원 장치에서 Alexa LLM을 지원한다고 밝히며 몇몇 데보를 보여주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런 장면을 보고 감탄을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위스퍼가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타이핑을 하고 텍스트 출력으로 대화를 해야 하는 ChatGPT나 Bard와는 달리, 정말 사람과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모든 일들이 이..

OpenAI가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인 DALL-E의 세번째 버전을 공개했습니다. DALL-E 3의 가장 큰 특징은 자사의 ChatGPT 서비스와 통합을 한 것입니다. 따라서, DALL-E만을 위한 프롬프트를 모르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것입니다. 마치 챗GPT를 이용하듯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챗GPT가 DALL-E를 위한 최적의 프롬프트를 생성해 주는 식인거죠. DALL-E 3는 10월에 ChatGPT Plus 및 ChatGPT Enterprise 사용자에게 처음으로 허용될 예정이며 이후 API 서비스도 출시될 예정입니다. DALL-E 3는 외설적이거나 잠재적으로 혐오스러운 이미지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강력한 안전 조치를 마련했고 저작권 이슈를 피하기 위해 특정 아티스트..

삼성전자는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IFA 2023에서 2024년 출시되는 모든 가전 제품에 ‘빅스비(Bixby)’를 활용한 인공지능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현재도 일부 제품에는 빅스비가 탑재되어 있지만, 정해진 틀을 갖춘 정확한 목적 문장 하나를 이해하는 수준에 그친다. 반면, 앞으로는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는 복합형 문장도 이해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예를 들면, 에어컨이 사용자가 좋아하는 온도를 알아서 맞춰주고 냉장고가 재료를 보관하는 것을 넘어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 방법을 제안하는 식이다. 그렇다고 해서 새로운 빅스비가 ChatGPT와 같은 초거대 언어모델(LLM) 급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즉, 가전이나 스마트홈 분야에 특화된 소규모 LLM인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메타(구 페이스북)..

가전 및 자동차 시장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도입으로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생성형 AI를 적용한 가전 제품과 자동차가 더 많이 출시되면서 사용자 경험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3'과 세계 최대 모터쇼 'IAA 모빌리티 2023'에서 생성형 AI를 도입한 제품이 소개되었습니다. 독일의 차 부품업체 콘티넨털은 구글 클라우드와 파트너십을 맺어 자동차 조종석에 생성형 AI를 내장하는 최초 사례를 발표했습니다. 생성형 AI를 적용한 차량은 운전자의 명령을 더 깊이 이해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삼성전자도 내년에 음성 인식 플랫폼 '빅스비'에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할 예정으로, 사용자와 자연스러운 대화를 지원하고 가전 제품을 더 효과적..

7월 말, 구글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자신들의 음성 비서인 구글 어시스턴트에 통합한다고 밝혔고, 이보다 앞선 4월에 아마존은 자신들의 인공지능 비서에 알렉사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합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즉, 에코 스피커나 홈서비스 로봇인 아스트로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알렉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거죠. 물론, 애플도 그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다른 기업들에 비해 준비가 늦기는 했지만, 자체 생성형 인공지능 개발에 상당 부분 진척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곧 발표될 iOS 17에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더불어 중국의 샤오미 역시 8월 29일 진행된 실적 발표 행사에서 자신들의 생성형 인공지능인 XiaoAI를 음성 비서와 통합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조만간 인공지능 비서 경쟁이 다시..
자동화된 에어컨 스케줄 및 클라이밋 리액트 등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바탕으로 맞춤형 개인 추천 기능 제공..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40% 이상 줄일 수 있어서 전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33%를 차지하는 냉난방 장치의 에너지 절감에 기여. https://sensibo.com/blogs/home/sensibo-integrates-openai-s-chatgpt-into-smart-hvac Sensibo Integrates OpenAI’s ChatGPT Into Smart HVAC Tel Aviv, June 26, 2023 - Sensibo, the leading Climate Tech IoT company combining smart ACs with a more sustainable world, announ..
8월 초에 나온 기사인데요, Axios가 입수한 구글 내부 자료에 따르면, 구글도 자신들의 인공지능 비서인 구글 어시스턴트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접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직 정확한 일정은 밝혀지지 않았는데요, 아마존, 애플에 이어 구글도 조금씩 가시화되는 것 같습니다. https://www.theverge.com/2023/7/31/23814702/google-assistant-ai-features-layoffs-bard Google will “supercharge” Assistant with AI that’s more like ChatGPT and Bard A “supercharged” Assistant would be powered by AI tech similar to Bard and ChatGPT..

여름 휴가철이 되면서 조금 잠잠해진 이유도 있지만, 2023년 상반기를 달구었던 ChatGPT에 대한 관심이 한풀 꺾인 느낌입니다. 실제로 저도 5월까지만 하더라도 거의 날마다 ChatGPT를 썼고 6월에만 하더라도 일주일에 한두 번씩은 썼는데요, 7월 이후부터는 월 한두 번 수준으로 줄어들더군요. 그래서 나만 그런지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두 부류로 나뉘더군요. 오히려 이전보다 더 많이 쓰는 사람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로요. 전자는 주로 업무에 활용하는 사람들인데요, 비즈니스 메일이나 보고서 등 작성에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런 흐름은 구글 트렌드에서도 확인되는데요, 그림에 보이는 것처럼 우리나라의 경우 2-3월에 피크를 쳤고 (챗GPT는 4월) 글로벌하게는 3-5월 사이에 정..
며칠 쉬고 왔더니 애플도 ChatGPT 같은 자체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개발했다는 뉴스가 보입니다. AppleGPT라 불린다고 하는데요, 다만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과는 달리 자체 개발한 기술을 내부에서만 이용하는 폐쇄적인 형태가 될 것이라고 하네요. 애플의 애플GPT는 2022년에 개발된 Ajax라는 LLM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내부적으로 이를 토대로 한 검색과 시리, 지도 서비스에 AI 관련 개선 사항을 테스트 중이라고 합니다. 여러 기사들을 보면 2024년에는 AI 챗봇 형태로 서비스될 것이며 이에 따라 앱스토어에 있는 AI 챗봇 서비스들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이미 ChatGPT나 구글의 Bard도 일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챗봇이나 상담원을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형태가 될 것이구요, 아마존처럼 각 상품에 대한 전체 리뷰를 사용자가 궁금해 하는 내용 중심으로 요약해 주는 것도 좋은 활용 방식입니다. 이 외에 사용자의 요구사항이나 과거 구매 이력 등을 바탕으로 옷을 추천해 주거나 연속적인 질문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데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외에서 가상 피팅(가상 시착) 기술을 이용해서 직접 입어보지 않더라도 자신이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구요,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의류를 제작할 수도 있습니다. https://ecommercenews.eu/generative-ai-in-ecommerce-a-look-beyond-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