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스마트홈 & 스마트 비즈니스 (404)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아마존 하드웨어 이벤트로 검색을 하다 보니, 그동안 제가 모르고 있던 제품이 2개 보이더군요. 바로 아마존 스마트 공기질 모니터 장치와 비누 디스펜서입니다. 먼저 스마트 공기질 모니터는 아래 사진처럼 생겼구요, 미세먼지(PM2.5) 및 VOC 가스, 일산화탄소,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없어서 스마트폰의 알렉사 앱이나 스마트 스피커/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스마트 비누 디스펜서입니다. 요즘은 코로나 때문에 이런 장치들을 종종 볼 수 있었는데요, 손을 가져다 대면 자동으로 물비누 혹은 거품비누가 나오는 그런 장치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장치 위에 LED로 되어 있는 20초 타이머가 있는데요, 비누가 나온 후 20초를 알려준다고 합니다. ..
이커머스 사업자인 아마존은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제조해서 판매할까요? 아래 몇몇 기기들의 리스트가 있는데요, 이 외에도 에코 버즈, 에코 링, 대시 쉐프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있으며, 자회사인 Blink나 Ring, Eero의 제품들까지 더하면 그 숫자는 이보다 배는 더 많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에코는 왜 이렇게 많은 스마트홈 디바이스 라인업을 가져가려 하는 걸까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아마존은 집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 서비스 사업자가 되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AWS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외한다면, 이커머스에 집중하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사실은 그렇지마는 않습니다.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보안 및 안전, 건강관리, 의료 등의 분야로 빠르게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죠..

매킨지의 홈서비스 로봇 분류인데요, 보시는 것처럼 Master Bot, Service Bot, 그리고 Niche Bot으로 분류합니다. 니치 봇은 로봇 청소기 같은 개벌 업무에 특화된 로봇이구요, 서비스 봇은 미디어를 관리한다거나 혹은 식료품 쇼핑을 관할하는 특정 분야에 특화된 로봇이구요, 마스터 봇은 이들을 모두 관할하는 로봇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홈서비스 로봇이 단순히 허드렛일만 하는 하드웨어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위 그림에서도 보이는 것처럼, 다양한 형태의 로봇(서비스봇과 니치 봇)을 통해 서비스 사업자들은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즉, 서비스 로봇은 서비스를 전달하는 새로운 채널로 활용된다는 것입니다.

샤오미가 얼굴 인식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 도어락을 출시했습니다. 3D Structured Light 기술을 사용하는 이 제품은 얼굴에 31,000개의 빔을 투사하여 1초 만에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고 잠금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두온 곳에서도 이용할 수 있으며, 키가 1.3~2미터인 사람의 얼굴을 최대 50개까지 저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놀라운 것은 얼굴 스캐닝의 오류율이 0.0001%라고 하네요.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결될 때, 사용자의 지문, 암호 혹은 Mijia 앱을 통해 장치를 잠금해재 할 수 있습니다. Mijia 및 Apple Homekit과 호환되기 때문에 문을 열 때 조명이 켜지는 것과 같은 스마트홈 시나리오를 트리거링 할 수 있습니다. 6,250mA..

Full HD를 지원하는 저가형 크롬캐스트가 출시되었네요. 정식 명칭은 Chromecast with Google TV HD입니다. 가격이 29달러인데요, HD를 지원하던 기존 제품 가격이었던 35달러보다 저렴하구요, 4K를 지원하는 제품의 49달러보다 저렴합니다. 저는 지난 프라임데이 기간에 4K 지원 제품을 39달러에 할인해서 구매했었는데요, 집에 TV도 Full HD만 지원하고 4K를 지원하는 컨텐츠도 많지 않아서 좀 저렴하면서 Full HD를 지원하는 제품이 나와주면 좋겠다 했는데, 그런 제품이 출시됐네요. 4K 제품에 비해 가격이 20달러나 저렴하다 보니 메모리 용량이나 성능이 다소 떨어집니다. 1.5GB RAM과 8GB 온보드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고 Amlogic S805X2 칩셋으로 구..
지난 5월에 매터와 관련된 뉴스를 업데이트 한 후 바빠서 후속 업데이트를 공유하지 못 했습니다. 오늘 잠깐 짬을 내어 최근 있었던 매터 관련 주요 뉴스들, 그리고 관련하여 HCA와 관련된 내용들을 하나로 모아봤습니다. 주된 내용은 IFA 2022에서 있었던 매터(matter) 관련 전시 및 시연에 대한 내용, 애플 및 안드로이드 OS에서 Matter Accessories 메뉴 추가 소식, 그리고 매터 회원사 증가 현황, 실리콘랩스의 매터 관련 가상 워크샵, 10월에 있을 지능형사물인터넷 국제 컨퍼런스에서 발표하는 내용 등입니다. https://youtu.be/4yknH7YR87s 혹시라도 5월에 공유했던 매터 관련 소식들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g..
지난 번에 브런치에 WWDC 2022에서 소개된 스마트홈 관련 내용을 정리해서 공유드린 적이 있었는데요, 거기에 약간 더 내용을 추가해서 동영사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많은 시청, 구독, 좋아요,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동영상에 포함된 주요 내용들은 iOS16에서 홈 앱의 변화 모습 및 주요 기능 소개, 매터 표준 지원, 홈키(HomeKey) 지원 기업의 증가 및 패스키(PassKey)로의 확대 적용, 카플레이(CarPlay), A16 칩셋 사용 등입니다. 이 외에 아이패드가 홈 허브로 사용될 수 없다는 내용도 들어가 있는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EWp2PzcCu-U
지난 번 공유한 "CES 2022에서 확인된 Matter 표준 동향"에 이어 "CES 2022에서 확인된 스마트홈 기술/서비스 트렌드" 영상을 공유합니다. 원래는 2시간 분량의 내용인데요, 사례나 디테일한 내용은 빼고 키워드 중심으로만 정리했습니다. 많은 시청 및 구독&좋아요, 공유 부탁드립니다. #CES2022, #SmartHome, #Matter, #AIoT, #ambient, #스마트홈, #지능형사물인터넷, #매터표준, #김학용, #IoT전략연구소 https://youtu.be/iiPbsTTbNsw

벌써 2주나 되었군요. 최근 어쩌다 보니 스마트홈 환경을 아마존 알렉사 중심에서 애플 홈킷 중심으로 확대를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은 아이폰에 있는 홈 Home 앱으로 그냥저냥 이용했는데, 아무래도 스마트홈의 기본은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게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홈팟 미니를 하나 직구로 구매했습니다. 애플 홈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아마존이나 구글과는 달리 집에 홈 허브 역할을 하는 장치가 하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홈 앱을 설치할 수 있는 (이 말은 홈킷을 지원하는) 아이폰이나 아이패드가 있거나 혹은 홈팟 미니나 Apple TV 4K가 있어야 합니다. 물론, 이들이라고 다 되는 것은 아니구요, 일단 최신 제품이라면 거의 됩니다. 약간 구형들은 일일이 확인을 해보셔야.. 저의 경우..
삼성의 스마트싱즈가 SmartThings Edge라 불리는 로컬 자동화 기능과 스마트홈 연동 표준인 매터를 지원하겠다고 밝혔군요. 로컬 자동화라는 것은 기존의 애플 홈킷처럼 댁내에 위치하는 허브가 컨트롤 허브의 역할까지도 하는 것으로, 인터넷이 단선이 되도 댁내 자동화가 가능하고 제어 룰이 로컬 허브에 저장되기 때문에 반응 속도도 빠르며 보다 안전(secure)한 제어 방식입니다. 일종의 초기 에지 컴퓨팅 혹은 on-device AI 형태라고도 할 수 있죠. 매터는 아실만한 분들은 다 아실텐데요, 최근에 발표 일정이 2022년 상반기로 연기가 되었습니다. 30개에 달하는 신규 회원사가 추가되며 약간의 조율도 필요하고 SDK 및 샘플 코드까지 개발해서 제공하려다 보니 시간이 더 필요했다고 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