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Multi-Admin (5)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슬슬 매터 지원 장치들이 시장에 풀리고 있습니다. 저만해도 벌써 6~7대의 매터 지원 장치를 구매해서 테스트해 보고 있구요, 쓰레드를 지원하는 한 대는 또 미국에서 날아오고 있는 중입니다. 매터를 이용하다 보면 여러 가지 궁금한 점들이 있는데요, 그런 내용들을 하나씩 정리해 보려 합니다. 지난번 멀티 어드민에 이어 두번째인데요, 아마존 알렉사에 매터 지원 장치를 연결할 때 발생하는 사례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이 그림은 Matter를 지원하는 Tapo Plug인데요, 보통 동일한 이름의 디바이스는 하나만 두게 되는데요, 얘는 두 개입니다. 얘뿐만 아니라 매터를 지원하는 장치들 대부분이 알렉사에서는 2개 존재하게 되는데요 왜 그럴까요? (어떨 때는 서로 다른 이름으로 2개 존재하기도 합니다...
멀티어드민(multi-admin)을 지원하는 매터 표준 기반의 홈네트워크의 간단한 예를 그려보았습니다. 간단하다고 했지만, 다양한 케이스를 모두 추가하려 하다보니 조금 복잡합니다. 일단 삼성의 스마트싱스와 애플의 홈킷만 존재하는 경우구요, 각각 스마트싱스 스테이션과 홈팟미니가 컨트롤러 및 쓰레드 보더 라우터(TBR)의 역할을 합니다. 즉, 두 장치는 쓰레드를 지원한다는 거죠. 따라서, 쓰레드를 지원하는 장치들(가는 실선으로 연결), 예를 들면 움직임센서, 스마트센서, 문열림 센서가 각 장치에 연결되어 있구요, 이중에 스마트 램프는 두 TBR에 연결되어 멀티어드민(ma)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스위치와 스마트 플러그는 와이파이를 지원(동그란 점선으로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스마트 플러그는 ..
스마트 조명 전문기업인 시그니파이는 다양한 조명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일반 스마트 램프에서부터 아래 보이는 Hero와 Squire 같은 스마트 조명 제품도 판매하고 있죠. 지난 4월에 모 행사에서 Signify 마케팅 담당자를 만나게 되었는데요, 제 유튜브와 블로그를 자주 보신다고 하면서 자신들의 제품을 이용해 볼 수 있게 협찬해 주시겠다고 합니다. 그래서 뒤늦게 제품을 받고 뒤 늦게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제가 해보고 싶었던 것은 매터 표준을 이용한 멀티어드민과 스페이스센스(SpaceSense) 기능이었습니다. 그런데, 일단 스페이스 센스는 생각보다 잘 안 되는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이건 다음에 더 테스트 하고 결과를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구요, 오늘은 매터 멀티어드민 영상만 공유해 드리도록 하..
엇그제인 5월 3일, 아마존은 iOS에서도 매터 디바이스를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즉, 애플의 아이폰에서도 아마존의 알렉사 앱을 이용해서 매터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후다닥 해 보았는데 안 되더군요. 알렉사 앱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했는데, 매터 디바이스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오늘 새벽에 위와 같은 내용의 이메일이 도착해 있어서 다시 시도하니 매터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이폰에서 알렉사 앱(Alexa)으로 매터를 지원하는 TP-Link의 Tapo 스마트 플러그를 등록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삼성 스마트싱스 플랫폼에 멀티어드민으로 디바이스를 공유하는 과정도 해 보았습니다. 이 내용들을 정리한 글을 공유합니다...
매터 표준이 발표(2022년 10월 4일)된지도 어느덧 5개월이 지나갑니다. 지금까지 매터 인증을 받은 장치 및 소프트웨어만 해도 700개가 넘는다고 하는데, 아직까지 손에 잡히는 제품은 없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이 거의 유일한 제품인 것 같습니다. 물론, 기존에 구매해 놓았던 스마트 스피커나 스마트 디스플레이도 펌웨어 업데이트만 하면 쓰레드 보더 라우터 혹은 컨트롤러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문제는 여기에 붙여서 이용할 매터 인증 장치들이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신문 기사를 보면 Eve Systems는 이미 3종의 제품을 출시했다고 하고, 제가 공유한 자료에서도 몇몇 출시된 제품들을 소개하고 있기는 한데요, 문제는 국내에서 구매해서 이용할 수 없다는 것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