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HomeKit (2)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멀티어드민(multi-admin)을 지원하는 매터 표준 기반의 홈네트워크의 간단한 예를 그려보았습니다. 간단하다고 했지만, 다양한 케이스를 모두 추가하려 하다보니 조금 복잡합니다. 일단 삼성의 스마트싱스와 애플의 홈킷만 존재하는 경우구요, 각각 스마트싱스 스테이션과 홈팟미니가 컨트롤러 및 쓰레드 보더 라우터(TBR)의 역할을 합니다. 즉, 두 장치는 쓰레드를 지원한다는 거죠. 따라서, 쓰레드를 지원하는 장치들(가는 실선으로 연결), 예를 들면 움직임센서, 스마트센서, 문열림 센서가 각 장치에 연결되어 있구요, 이중에 스마트 램프는 두 TBR에 연결되어 멀티어드민(ma)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스위치와 스마트 플러그는 와이파이를 지원(동그란 점선으로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스마트 플러그는 ..
벌써 2주나 되었군요. 최근 어쩌다 보니 스마트홈 환경을 아마존 알렉사 중심에서 애플 홈킷 중심으로 확대를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은 아이폰에 있는 홈 Home 앱으로 그냥저냥 이용했는데, 아무래도 스마트홈의 기본은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게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홈팟 미니를 하나 직구로 구매했습니다. 애플 홈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아마존이나 구글과는 달리 집에 홈 허브 역할을 하는 장치가 하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홈 앱을 설치할 수 있는 (이 말은 홈킷을 지원하는) 아이폰이나 아이패드가 있거나 혹은 홈팟 미니나 Apple TV 4K가 있어야 합니다. 물론, 이들이라고 다 되는 것은 아니구요, 일단 최신 제품이라면 거의 됩니다. 약간 구형들은 일일이 확인을 해보셔야.. 저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