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애플 (10)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https://www.theverge.com/2024/6/5/24170446/apple-macbook-ipad-imac-thread-radio There’s a secret smart home radio in your new MacThere’s a secret smart home radio in your new Mac.www.theverge.com 작년 가을, 애플은 아이폰 15 프로와 프로 맥스를 발표하면서 최고급 스마트폰에 스레드 라디오를 탑재하여 모두를 놀라게 했습니다. 이제 Apple은 2023년 9월 이후 출시된 여러 신형 Mac과 iPad에도 이 중요한 스마트 홈 라디오를 조용히 추가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애플은 이들 제품의 사양에 Thread를 명시하지 않았지만, FCC 보고서에 따르면..
며칠 쉬고 왔더니 애플도 ChatGPT 같은 자체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개발했다는 뉴스가 보입니다. AppleGPT라 불린다고 하는데요, 다만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과는 달리 자체 개발한 기술을 내부에서만 이용하는 폐쇄적인 형태가 될 것이라고 하네요. 애플의 애플GPT는 2022년에 개발된 Ajax라는 LLM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내부적으로 이를 토대로 한 검색과 시리, 지도 서비스에 AI 관련 개선 사항을 테스트 중이라고 합니다. 여러 기사들을 보면 2024년에는 AI 챗봇 형태로 서비스될 것이며 이에 따라 앱스토어에 있는 AI 챗봇 서비스들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이미 ChatGPT나 구글의 Bard도 일반..
애플이 매터 표준이 발표되면서 스마트홈에 진심입니다. 이런 모습은 iOS 16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했고, 올 가을에 발표될 iOS 17에서는 더욱 확연히 드러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iOS 16 기반의 애플 홈(Home) 앱에는 숨겨진 혹은 드러나 있지만 잘 사용하지 않고 있는 기능이 하나 있는데요, 바로 홈 메모(Home Note) 기능입니다. 아래 오른쪽 사진처럼 기본적으로는 텅 비어 있습니다. 홈 메모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홈 앱을 실행시킨 후 오른쪽 상단의 "더 보기(···)" 아이콘을 클릭한 후 다시 한 번 톱니바퀴 모양의 "홈 설정"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 다음 아래로 죽 스크롤 하면 보입니다. 홈 메모는 위 사진에 나와 있는 것처럼 "홈을 공유하는 구성원에게 전달할 메모를 추가하십시오."의 용도..
저는 아이폰을 씁니다. 그래서 폰으로 혹은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거나 집 혹은 사무실에서는 홈팟미니로 캐스팅해서 음악을 들었습니다. 근데 오늘 멜론을 이용하다 보니 홈팟미니 말고도 구글 인공지능 스피커와 삼성전자의 인공지능 스피커로도 캐스팅이 되는군요. 위에 보면 내 기기는 아이폰이구요, 아이폰을 선택하면 여기서 홈팟 미니로 캐스팅 하는 것은 아실 거에요. 그런데 그 외에 Galaxy Home Mini가 있고 사무실(구글홈 1세대), 1세대 네스트 허브가 있습니다. 그리고 2개의 구글 스피커를 묶어서 스테레오로 플레이되도록 한게 사무실 스테레오입니다. 진작에 알았으면 좋았을 걸 이제서야 알았네요 ^^ 구글 스피커 페어링 하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구글 스피커를 페어링하여 스테레오 사운드 감상하 :..
Full HD를 지원하는 저가형 크롬캐스트가 출시되었네요. 정식 명칭은 Chromecast with Google TV HD입니다. 가격이 29달러인데요, HD를 지원하던 기존 제품 가격이었던 35달러보다 저렴하구요, 4K를 지원하는 제품의 49달러보다 저렴합니다. 저는 지난 프라임데이 기간에 4K 지원 제품을 39달러에 할인해서 구매했었는데요, 집에 TV도 Full HD만 지원하고 4K를 지원하는 컨텐츠도 많지 않아서 좀 저렴하면서 Full HD를 지원하는 제품이 나와주면 좋겠다 했는데, 그런 제품이 출시됐네요. 4K 제품에 비해 가격이 20달러나 저렴하다 보니 메모리 용량이나 성능이 다소 떨어집니다. 1.5GB RAM과 8GB 온보드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고 Amlogic S805X2 칩셋으로 구..
지난 5월에 매터와 관련된 뉴스를 업데이트 한 후 바빠서 후속 업데이트를 공유하지 못 했습니다. 오늘 잠깐 짬을 내어 최근 있었던 매터 관련 주요 뉴스들, 그리고 관련하여 HCA와 관련된 내용들을 하나로 모아봤습니다. 주된 내용은 IFA 2022에서 있었던 매터(matter) 관련 전시 및 시연에 대한 내용, 애플 및 안드로이드 OS에서 Matter Accessories 메뉴 추가 소식, 그리고 매터 회원사 증가 현황, 실리콘랩스의 매터 관련 가상 워크샵, 10월에 있을 지능형사물인터넷 국제 컨퍼런스에서 발표하는 내용 등입니다. https://youtu.be/4yknH7YR87s 혹시라도 5월에 공유했던 매터 관련 소식들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g..
지난 번에 브런치에 WWDC 2022에서 소개된 스마트홈 관련 내용을 정리해서 공유드린 적이 있었는데요, 거기에 약간 더 내용을 추가해서 동영사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많은 시청, 구독, 좋아요,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동영상에 포함된 주요 내용들은 iOS16에서 홈 앱의 변화 모습 및 주요 기능 소개, 매터 표준 지원, 홈키(HomeKey) 지원 기업의 증가 및 패스키(PassKey)로의 확대 적용, 카플레이(CarPlay), A16 칩셋 사용 등입니다. 이 외에 아이패드가 홈 허브로 사용될 수 없다는 내용도 들어가 있는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EWp2PzcCu-U
아마존이 1.5조 달러 기업이 되고 애플이 2조 달러 기업이 된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리고 연간 50만 대의 전기차 밖에 생산하지 못하는 테슬라가 8000억 달러짜리 기업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저는 그 이유가 크로스 플랫폼 전략과 멤버십 서비스라고 생각합니다. 멤버십 서비스는 알겠는데 크로스 플랫폼이 무엇이냐구요? 말 그대로 여러 개의 서비스 플랫폼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바로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같은 각 분야의 일등 기업들이 사용하는 플랫폼 전략인 것이죠. 저는 이런 기업들을 온리원(Only One) 기업들이라 부르며, 앞으로는 온리원 기업이 되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려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내용을 저의 7번째 책이자 단독으로 쓴 4번째 ..
저의 4번째 책인 가 1월 30일 발간되어 절찬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아마존, 테슬라, 애플, 네이버 같은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의 성공 전략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구매 부탁드립니다. 궁금하지 않으신 분들도 구매 부탁드려요 ^^; ================ 위에 보이는 회사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네 맞습니다. 각 분야별 일등 기업들이죠. 그리고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이라는 것입니다. 저는 이들처럼 각 분야의 일등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을온리원 기업이라 부릅니다. 그런데, 아마존과 비슷한 시기에 온라인 플랫폼 비즈니스를 시작한 이베이는 왜 온리원 기업이 될 수 없었을까요? 저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이베이는 온라인 기업이면서도 마치 ..
아이폰의 인기가 무서울 정도다. 아이팟에 이어 아이폰, 그리고 이제는 아이패드로 이어지며 조만간 애플 천하가 펼쳐질 것 같다. 하지만, 시장을 아는 다수의 사람들은 전혀 그렇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애플이 승승장구 하는 이유는 애플이 잘나서라기 보다는 기존의 이통사들이나 단말기 제조사들이 못나서다.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비자는 물론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판매자들을 기만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애플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바탕으로 사용자들 및 컨텐츠/어플리케이션 개발자, 판매자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익 모델은 곧 한계에 부닥칠 것이다. 바로 안드로이드와 같은 개방형 플랫폼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개방형 플랫폼이 애플의 폐쇄형 플랫폼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이런 전망을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