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스마트홈 & 스마트 비즈니스 (401)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FBhwh/btsGI33BFbN/v7H9IVOwb258RaHXs8RkfK/img.jpg)
Espressif ESP32-C6을 기반으로 구축된 XIAO 소형 폼팩터 마이크로 컨트롤러 개발보드로 고성능 160MHz RISC-V 코어와 저전력 20MHz 컴패니언 코어를 갖추고 있는 제품입니다. 와이파이 6, 블루투스 5.3 BLE, 매터를 지원합니다. https://www.hackster.io/news/seeed-unveils-the-compact-matter-ready-xiao-esp32c6-dev-board-a43f5912dd2c
스위치봇은 Hub 2의 펌웨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매터 표준을 지원하는 로봇 청소기인 SwitchBot K10+와 곧 출시 예정인 SwitchBot S10을 포함한 다양한 매터 지원 기기를 이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로써 매터를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봇 하위 디바이스의 숫자가 6개에서 8개로 늘어났습니다. https://restechtoday.com/switchbot-hub-2-firmware-update-expands-matter-suppor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a075/btsGA0SZfNa/I35GHKjkyVcJKvkulU1hp1/img.jpg)
안드로이드 15는 기기가 유휴 상태이거나 충전 중일 대 Google Home 기기를 바로 제어할 수 있는 "Home Control"이라는 화면 보호기를 새롭게 추가할 예정입니다. 구글은 이미 음성 어시스턴트, 구글 홈 앱, 그리고 안드로이드 12부터는 빠른 설정 타일, 잠금화면 바로가기를 통해 구글 홈 기기를 제어할 수 있었죠. 위 이미지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홈 컨트롤 화면 보호기의 설정은 Google Home 앱이 아닌 SystemUI 앱에서 제공합니다. 따라서, 다른 디바이스 컨트롤 제공업체가 아닌 구글 홈에서만 작동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른 스마트홈 앱에서는 자체 화면 보호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인 스크린 세이버를 구현하는 코드가 com.android.systemui 경로에 있..
애플이 스마트홈 중앙 허브 역할을 하도록 한 새로운 홈 액세서리를 개발 중입니다. 이미 TV와 홈팟을 홈 허브로 이용하고 있지만, 스마트홈 기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거죠. 형태는 iPad와 비슷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보급형 10세대 아이패드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되구요, 충전 허브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것으로 보입니다. 벽걸이 형태로 이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https://www.macrumors.com/guide/apple-smart-home-display/ Apple Smart Home Display: Everything We Know Apple is working on a new Home accessory that is desig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UUYu/btsGqXV8aE8/tT90afsaM8epPvRq3ETj9k/img.jpg)
요즘 애플이 다양한 방면에서 고전을 하고 있는데요, 최근 애플카 개발을 포기하면서 이 과정에서 개발된 기술을 모바일 로봇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떠돌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아마존의 아스트로나 삼성전자의 볼리 같이 이동하는 로봇은 아닌 거 같구요, 로봇 팔이 붙어 있는 디스플레이 형태가 될 것 같습니다. 놀랍게도 이런 제품을 MWC 2024에서 봤는데요, SKT 부스에서 전시한 인티그리트의 스텔라(V. Stella)라는 제품입니다. 이 제품은 생성형 AI를 이용해서 사용자와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며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 방향으로 화면을 보여줍니다. 생성형 비전 AI 기술을 탑재하고 있어서 상황에 맞게 가상인간의 표정을 만들어주기도 하구요. 물론, 스텔라에는 좀 과한 로봇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Xy1x/btsGhFBeiun/u2172AIIzYpauaw9hGXPrK/img.jpg)
Migo Robotics라는 회사가 Matter 표준을 지원하며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는 새로운 로봇 진공 청소기에 대한 Kickstarter 캠페인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Ascender라는 이름의 이 로봇 청소기는 최대 22cm 높이의 계단을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Amazon Alexa와 Google Home 및 Matter 1.2를 지원합니다. Ascender에는 HD 카메라, 고정밀 LiDAR, 6개의 ToF 센서가 장착되어 있어 네비게이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됩니다. 또한, 5TFLOPS AI 컴퓨팅 엔진을 이용해 고급 AI 알고리즘을 처리함으로써 지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https://homekitnews.com/2024/03/22/matter-enabled-st..
삼성의 글로벌 커넥티드 리빙 플랫폼인 SmartThings는 사용자가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혁신하는 것을 목표로 스마트 조명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Philips Hue와의 파트너십 확대를 오늘 발표했습니다. 이번 협업에서는 홈 자동화를 향상하고 조명 동기화 제어를 강화하도록 설계된 SmartThings를 통해 일련의 독점 업데이트와 Philips Hue Sync TV 앱의 향상된 제어 기능을 소개합니다 . SmartThings 앱과의 향상된 통합 CES 2024에서 SmartThings는 TV 중심의 스마트 홈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기능을 선보였습니다. 이번 협력을 통해 가족을 위한 스마트 홈 경험의 핵심으로서 TV의 역할이 증폭되었습니다. 사용자는 SmartThings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tWER5/btsFQUGv03j/eH7i4tnn6lm58h4J9yASvK/img.jpg)
Matter 표준을 개발하고 있는 CSA에서 IoT Device Security Specification 1.0과 라벨링(Product Security Verified Mark)를 공개했다. 출시 기준으로 미국 유럽 싱가폴 보안 기준만을 수용하고 있지만, 앞으로 전세계 모든 나라에서 통용되는 표준으로 만들겠다고 한다. 해당 스팩은 이 링크에서 다운받으시기 바랍니다.
Crestron이라는 브랜드를 처음 접하는데요, Hubitat Elevation 허브를 이용해서 매터 기기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Crestron이 조금 비싼 브랜드의 제품이라고 하는데요, 그래서 기성 브랜드와의 통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터 표준에 관심을 갖는다고 합니다. https://restechtoday.com/integrating-matter-compatible-devices-with-a-crestron-smart-home/ Integrating Matter-Compatible Devices with a Crestron Smart Home Matter (originally called Connected Home over IP or CHIP) is the newe..
로봇과 AI 기술을 이용해서 시니어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사업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자료네요. 아래 내용은 요약이구요, 전체 기사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서울시는 초고령 사회의 다양하고 높은 돌봄 서비스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첨단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케어로의 전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반려로봇견, 재활로봇 등 AI 기반 돌봄 로봇이 활용될 예정이다. 노인들의 웰빙 향상을 위해 스마트복지관, 스마트노인관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에는 노인들의 디지털 욕구를 돕기 위한 '디지털 체험버스'가 운행될 예정이다. https://english.seoul.go.kr/elderly-care-becomes-smart-in-seoul-by-using-robots-and-ai-t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