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스마트홈 & 스마트 비즈니스 (399)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MDa7i/btsJOVG4EaW/GKnIezT6tYi1EoAqEq7WPK/img.png)
매터 표준과 관련해서 움직임이 더디던 LG전자가 지난 9월 17일부로 두 개의 기기에 대해 매터 인증을 받았습니다. 위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하나는 온습도 센서이구요 다른 하나는 1구짜리 스마트 버튼입니다. 최근에 씽큐 온이라는 온디바이스 AI를 지원하는 에지 허브를 출시하는 것을 포함해서 뭔가 변화의 모습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10월에 KES 2024와 AIoT 전시회가 있는데, 그때 볼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이 외에도 공기질 센서, 2버튼 스위치, 접촉 센서에 대해서도 인증을 받았더군요. 맨 위에 보이는 제품들은 9월 17일자로 인증을 받았구요, 바로 위에 보이는 제품은 9월 13일과 8월 28일로 나오는데, 아마 한꺼번에 신청했는데 서류 처리가 늦어져서 인증일자가 달라진 것 같습니다.
지난 9월 6일부터 10일 사이에 독일의 베를린에서는 IFA 2024가 개최되었습니다. 흔히, CES, MWC와 더불어 세계 3대 ICT 전시회라고 일컬어지는 행사인데요, CES 및 MWC에 비해서는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전시회인 것 같습니다. (실제로 저는 한 번도 참관한 적인 없네요 ^^) 잘 아시겠지만, IFA는 가전 중심의 전시회입니다. 따라서, 백색가전을 비롯해서 오디오, 비디오 기기들이 다수 소개되었는데요, 이와 더불어 주목받는 것이 바로 스마트홈 액세서리입니다. 올해는 어떤 제품들이 소개되었을까 궁금했는데요, Matter Alpha라는 곳에서 자세히 소개해 주고 있습니다. 일단 매터 표준을 지원하는 장치가 25개 소개가 되었다고 합니다. 아래 링크를 보시면 이들을 브랜드별로 정리해서 공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FeWJn/btsJEMXvIZx/eRMdHGTNjbTRx0C6c2nQC0/img.jpg)
iOS 18 업데이트를 하시면, 홈 허브 없이도 스마트폰에서 직접 매터 기기를 연결해서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다만, iOS 18이 설치된 아이폰 15 Pro 이상이어야 하고 쓰레드(Thread)를 지원하는 기기여야만 합니다. 또한, 이렇게 폰에 직접 연결된 기기들은 자동화(scene)를 위해 사용될 수 없으며, 당연히 집 밖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이 외에도 도어락의 Guest Access, UWB를 이용한 Express Mode, Adaptive Lighting 등의 기능을 지원하구요, Control Center에 추천되는 기기들을 사용자들이 설정할 수도 있게 되었습니다. https://www.matteralpha.com/explainer/ios-18-public-beta-what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MKno/btsJC04ejjO/3TlGcg4KWYfTRuKoqn9330/img.jpg)
항상 그렇듯이 LG전자의 발표는 별로 신뢰가 가지 않습니다. 아직 제대로 되지도 않는 것을 던지고 보는 식이고, 약속했던 시간이 되면 우리가 언제 그랬냐는듯 약속했던 결과물은 보이지 않기 때문이죠. 이번 IFA에서 발표한 씽큐온도 예외는 아닌 것 같습니다. 정확히 언제가 될지도 모르는 것을, 그저 우리는 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공개한 것처럼 보이네요. 무엇보다 AI 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얼핏 보면 ChatGPT와 같은 LLM이 가장 중요한 것처럼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LG가 개발하고 있는 LLM이 OpenAI의 ChatGPT나 클로드, 퍼플렉시티, 제미나이 등을 이길 수는 없겠죠. 물론, LLM도 중요합니다. 말끼를 잘 알아들어야 뭐든 할 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IzyRX/btsJvScfpzm/rJ5BfjZQxBs6D0ys7CR6I0/img.jpg)
오늘은 지난 번에 알리에서 구매해 놓은 소노프(Sonoff)의 스위치 모듈을 설치해 봤습니다. 제품 이름이 스위치 모듈인데요, 어떤 브랜드는 In-line module, 어떤 브랜드는 Circuit breaker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장치입니다. 이 제품은 보시다시피 단자가 많습니다. 1구(gang) 스위치 모듈인데도 단자가 무려 6개나 됩니다. 통상 중성선 쓰는 1갱 제품의 경우 중성선, 활선, 그리고 전구로 가는 선까지 3개면 되는데, 얘는 6개나 됩니다. 그래서 저는 처음에는 3구나 4구 정도인줄 알았는데 아니더군요. 제품은 스마트싱스에 등록했습니다. 애플 홈, 구글 홈, 아마존 알렉사에도 모두 등록해 보려 했는데, 등록이 되지 않더군요. 정확히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겠으나, 이 제품이 매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6vQJ/btsI2IVSklY/DCgSKQSq9z1CEhte2w8jg0/img.jpg)
NIPA와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지능형 홈(AI@Home)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이 진행됩니다. 지능형 홈 서비스 혹은 지능형 홈 디바이스에 대한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신청은 맨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 https://www.kashi.or.kr/board/index.html?action=view&board_id=notice&seq=16369
작년 9월 아마존이 에코 허브라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에 생성형 AI를 도입한다고 밝혔었죠. 뭐 여러 이유로 아직까지 도입되고 있지는 않지만, 구글도 연말부터 일부 사용자를 대상으로 구글 홈에 Gemini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TheVerge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theverge.com/2024/8/6/24213639/google-gemini-intelligence-ai-google-home-nest-aware Gemini intelligence is coming to Nest cameras, smart speakers, and smart displaysGoogle Home gets a potentially powerful AI infusion w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6eJ7u/btsIYEtcCAy/bRRQNe2TzKsn3xrO2qhgck/img.jpg)
구글이 매터 표준과 쓰레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TV 스트리머를 발표했습니다. 구글의 새로운 Google TV 스트리머는 기존 크롬캐스트와 유사하지만 스마트홈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이 기기는 4K HDR, 돌비 비전,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하며, 개선된 프로세서와 두 배의 메모리로 빠르고 부드러운 탐색을 제공합니다. 또한 매터와 스레드 기술을 통해 스마트홈 기기와의 연동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Google Home 패널로 TV 화면에서 다양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리모컨도 업그레이드되어 음성 리모컨 기능과 분실 모드가 추가되었습니다. 이 스트리머는 두 가지 색상으로 제공되며 9월 24일 출시 예정입니다. https://homekitnews.com/2024/08/07/google-announce-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93nip/btsITj9555L/zKlF60M5WpUVs9Ijg3Rrpk/img.jpg)
일찍부터 매터에 관심이 많았던 사람이라 처음부터 쓰레드 지원 제품을 만들고 이내 매터 지원 기기를 만들던 이브 시스템(Eve Systems)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작년 3월에는 Matter 표준을 주관하는 CSA 행사에서 Eve쪽 사람들을 만나보기도 했었죠. 암튼 그래서 이브 제품을 하나 사서 이용해 보고 싶었는데, 이게 유럽 회사라서 그런지 좀 비싼 거에요. 그래서 미루고 미루다 이번 아마존 프라임데이 때 약간 할인을 하길래 하나 사봤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매터를 지원한다고 매터 로고가 박혀 있습니다. 그리고, 제품 박스 옆을 보면, 애플의 애플 홈, 삼성의 스마트싱스, 아마존의 알렉사, 구글의 구글 홈을 지원하여 쓰레드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로고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케이스를 열어보니 이렇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2TXAS/btsIOTqM7fC/b9Oz3QRg6rhKrZucdNbq10/img.jpg)
지난 번에 Matter 표준을 지원하는 LeTianPai의 재실센서를 소개해 드렸는데요, 이번에는 Meross의 재실 센서를 소개해 드립니다. 외관은 아래 사진처럼 생겼구요, 아래쪽을 벽면에 부착한 후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다른 특성들은 일반 재실 센서와 비슷한데요, 공간 학습 기술을 이용해서 이미지, 오디오, 지도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높일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와 iOS에서 모두 동작하구요, 공식 출시일은 8월 1일입니다. 아직 판매 링크는 찾을 수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