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스마트홈 & 스마트 비즈니스 (401)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M1byh/btspVqlIPBS/LARlaZDgOSsZfeixVx4Kx1/img.jpg)
아래 뉴스를 보니 아카라가 G3 허브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매터(Matter) 표준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저도 예전에 아카라코리아에서 CSO로 재직하던 시절 받았던 제품이 하나 있어서 그거 업그레이드를 해보았습니다. 그런데, 이런 이상한 펌웨어 업데이트는 처음 보는 것 같습니다. https://homekitnews.com/2023/08/02/firmware-update-for-aqara-g3-adds-matter-bridge-support/?mibextid=Zxz2cZ&fbclid=IwAR1Udlf-SKuC2nMwvhCWxn6TlhaDF3HEJF6nrvVJ5D6DUTp-SCJTDcoZG18 Firmware Update For Aqara G3 Adds Matter Bridge Support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iG4n/btspHY3OXCq/IAKFed752PTkkmznhj3Bv0/img.jpg)
멀티어드민(multi-admin)을 지원하는 매터 표준 기반의 홈네트워크의 간단한 예를 그려보았습니다. 간단하다고 했지만, 다양한 케이스를 모두 추가하려 하다보니 조금 복잡합니다. 일단 삼성의 스마트싱스와 애플의 홈킷만 존재하는 경우구요, 각각 스마트싱스 스테이션과 홈팟미니가 컨트롤러 및 쓰레드 보더 라우터(TBR)의 역할을 합니다. 즉, 두 장치는 쓰레드를 지원한다는 거죠. 따라서, 쓰레드를 지원하는 장치들(가는 실선으로 연결), 예를 들면 움직임센서, 스마트센서, 문열림 센서가 각 장치에 연결되어 있구요, 이중에 스마트 램프는 두 TBR에 연결되어 멀티어드민(ma)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스위치와 스마트 플러그는 와이파이를 지원(동그란 점선으로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스마트 플러그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3olT/btspsVUUEVf/iac0LPwabwEaAJmzqpMKFk/img.jpg)
Matter over Thread를 지원하는 아카라의 도어 & 윈도우 센서 P2입니다. 기존 아카라 제품들과 달리 쓰레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쓰레드 보더 라우터(Thread Border Router)를 필요로 합니다. 센서에 버튼까지 추가했는데, 어떤 필요가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괜히 버튼 추가해서 가격만 30불로 비싸게 만든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는 판매되지 않습니다. https://www.amazon.com/dp/B0BTL8B72D/ref=sspa_dk_detail_0?psc=1&pd_rd_i=B0BTL8B72D&pd_rd_w=SLXnp&content-id=amzn1.sym.f734d1a2-0bf9-4a26-ad34-2e1b969a5a75&pf_rd_p=f734d1a2-0bf9-4a26-ad34-2e..
2019년, IKEA는 제한된 공간에 맞게 형태와 기능을 변형할 수 있는 로봇 가구를 선보였던 로그난(Rognan) 콘셉트를 소개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로는 더 이상의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로그난이 폐기된 것은 아닌지 궁금해집니다. 이러한 좌절에도 불구하고 로봇 공학 분야의 다른 흥미로운 혁신은 진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로봇 청소기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계단을 오르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스타트업인 미고 로봇(Migo Robots)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센더(Ascender)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어센더 진공 청소기는 기둥 모양의 다리를 사용하여 계단을 올라가며 각 계단을 청소합니다. 아직은 개념에 불과하지만 향후 다층(multi-floor) 청소 로봇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아마존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h0ov/btspdKrvdQG/snsHL2yZA1nftiw9ASa9xK/img.png)
어제는 LG전자에서 일종의 주거생활 플랫폼에 대한 기사를 발표하더니, 오늘은 삼성물산 래미안에서 비슷한 서비스를 발표하는군요. 홈닉은 스마트홈 기술을 고도화해 주거공간을 업그레이드하는 '홈그라운드'와 입주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라이프인사이드'로 구성되구요, 이를 통해 22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주목할만한 부분은 매터(Matter) 표준을 활용해 입주민이 구매한 제품도 아파트 플랫폼에 연결해서 쓸 수 있도록 할 예정이구요 입주민 전용 쇼핑몰도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근데, 쇼핑몰은 규모가 안 되서 어려울듯 합니다. 2019-2020년 사이에 래미안의 스마트홈 2.0 전략을 자문한 적이 있었는데요, 그때 이야기했던 내용들이 3-4년이 지난 지금에서야 하나둘 구체화 되는 것 같습니다. 진작에..
2018년에 LG 구광모 회장님의 취임을 앞두고 LG전자 생활가전쪽 TF에 자문을 협의하다 중단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야기는 다 듣고 비용이 부담스럽다며 빼길래 드랍을 했었죠. LG가 이런게 심하더라구요.. 암튼, 그때 앞으로 LG전자는 가전제조사가 아닌 서비스 회사가 되어야 한다며 (1) 가전 기반의 서비스 회사가 되어야 하고 (2) 가전과 연계된 서비스를 중개하는 회사가 되어야 하며 (3) 결과적으로 홈 서비스 포털 회사가 되어야 한다고 했었습니다. 이후 케어서비스가 출시됐고 이번에 가전 구독 및 생활 서비스와 연계하겠다는 발표를 하는군요. 물론 이 외에 AI 칩셋도 자체 개발하고 가전용 OS도 개발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저도 모릅니다만.. LG전자같은 제조사들이 플랫폼 비즈니스의 속성이나 본..
PT-4 API를 이용하여 Home Assistant와 결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소개하고 있는 글입니다. HA 이용하시는 분들은 함 따라 해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https://blog.gopenai.com/step-by-step-gpt-4-integration-in-smart-home-routines-38d2e0421476 Step-by-Step GPT-4 Integration in Smart Home Routines Hello readers, before getting into the matter of today’s post I wanted to humbly take a second to appreciate the response in my previous… blog.gopenai.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BHnOo/btsngIqceqM/KCJhquFIfX6x8dDWuGRCYK/img.jpg)
가요(Gayo)라는 앱/서비스가 있습니다. 핸드폰의 블루투스 신호를 인식해서 아파트의 공동 현관문을 열어주는 (더 나아가서는 엘리베이터까지 호출해주는) 서비스죠. 래미안의 올패스와 같은 서비스라 보시면 됩니다. 제가 사는 아파트(국내 2호 사물인터넷 아파트)도 최근에 이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가구(최대 6명)당 월 1,000원의 이용료를 내고 이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집들은 모르겠지만, 저희는 이용하고 있습니다. 공동현관문을 드나들 때 비번을 입력하면 되는데, 굳이 천원을 내면서까지 저런 서비스를 쓸 필요가 있을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손에 짐이 있을 때는 참 유용합니다. 어제 다른 자료를 조사하던 중에 월간 활성사용자수를 보게 되었는데, (22년 5월 기준) 삼성의 스마트싱스가 800만, LG Thi..
Remo 라인 아래에서 IR 리모콘을 만드는 일본회사 Nature에서 매터 표준을 지원하는 Smart IR Blaster를 출시했습니다. 매터 표준 스팩에서 IR 리모콘 카테고리는 없는데요, 아마도 리모콘이 로컬하게 여러 기기들을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브리지 표준을 따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https://homekitnews.com/2023/07/08/nature-remo-nano-ir-blaster-now-matter-compatible/ Nature Remo Nano IR Blaster Now Matter Compatible – Homekit News and Reviews With Matter being the new standard, for many it tends to feel like the..
매터 표준이 출시된지 어느덧 9개월이 지났고, CES에서 매터 관련 제품들이 선보인지도 6개월이 지났지만, 아직도 아마존이나 베스트바이 혹은 동네의 일반 소매점에서 매터 디바이스를 찾아보는 것은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실제로 아마존에서 Matter로 검색을 하면 매터 디바이스를 찾을 수 없습니다. Matter와 Device 혹은 Smart Home 같은 키워드를 함께 이용해야만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이 되더라도 고작 4-5 종류의 디바이스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중국의 알리에서도 상황은 비슷하죠. CES에서 만나본 기업들 이야기로는 적어도 2-3분기 후에나 공식적으로 유통될 거라고 했습니다. 제품을 인증받고 유통 체계를 마련하고 양산하고 유통하는데 적어도 2분기 이상 걸리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