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크로스플랫폼 (11)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어제는 LG전자에서 20분 정도의 임원들을 모시고 "크로스 플랫폼에서 시작되는 플랫폼 경제"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습니다. CTO께서 제가 최근에 발간한 책 를 읽어보시고 다른 분들과 공유하면 좋겠다고 해서 초청을 하셨답니다. 테슬라와 아마존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플랫폼, 특히 크로스 플랫폼 시대의 비즈니스 전략을 소개해 드렸고, LG전자의 내부 상황은 잘 모르지만, 전통적인 제조기업 관점에서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지난 주 한샘에 이어서 기업 초청 특강이 이어지는데요, 의외로 제조기업들이 모두 부르시네요. 서비스 기업들이야 어느 정도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알아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좋은 현상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두 기업 모두 추가적인 자..
출간한 의 축약 버전에 해당하는 글, "크로스 플랫폼이 주도하는 플랫폼 경제"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의 2월호에 실렸습니다. pdf 버전으로 다운받아 읽어보실 수 있으니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https://spri.kr/posts/view/23153?code=industry_trend 크로스 플랫폼이 주도하는 플랫폼 경제 - SPRi 최근 코로나19로 비대면 혹은 언택트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플랫폼 경제(platform economy)에 대한 관심도 그만큼 고조되고 있다. 플랫폼 경제라는 것은 서로 다른 이용자 그룹이 플랫폼이라는 물리 spri.kr
최근 글로벌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인 스포티파이가 국내 진출을 선언했습니다. 업계에서는 과거 넷플릭스가 그랬던 것처럼 LG유플러스를 통해 이용자 저변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아직 논의한 바 없다고 하지만, 별도의 음원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뿐더러 과거 넷플릭스와의 협력이 성공했던 적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성은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그 이상은 어렵지 않을까 하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119&aid=0002467297 OTT에 음원까지…글로벌 ‘공룡’ 진입에 토종업체 ‘추풍낙엽’ 유튜브, 넷플릭스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에 이어 음..
그동안 가능성만 이야기되던 쿠팡의 뉴욕거래소(NYSE) 상장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하면서 쿠팡의 상장이 성공적이고 그에 따라 어떻게 투자를 해야 할지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전개되는 것 같습니다. 어제만 하더라도 클럽하우스의 투자 관련 대화에서는 빠지지 않은 주제이기도 했구요. 그도 그럴 것이 연초에 30조 정도로 평가되던 쿠팡을 최근 최대 60조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상장은 성공할 가능성이 크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상장가 이하로 빠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중장기적으로 쿠팡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나라 이커머스 시장 규모가 비교적 작은데다가 이미 이커머스 비중이 매우 높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즉, 쿠팡의 성장성이 제한적이..
아마존이 1.5조 달러 기업이 되고 애플이 2조 달러 기업이 된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리고 연간 50만 대의 전기차 밖에 생산하지 못하는 테슬라가 8000억 달러짜리 기업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저는 그 이유가 크로스 플랫폼 전략과 멤버십 서비스라고 생각합니다. 멤버십 서비스는 알겠는데 크로스 플랫폼이 무엇이냐구요? 말 그대로 여러 개의 서비스 플랫폼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바로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같은 각 분야의 일등 기업들이 사용하는 플랫폼 전략인 것이죠. 저는 이런 기업들을 온리원(Only One) 기업들이라 부르며, 앞으로는 온리원 기업이 되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려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내용을 저의 7번째 책이자 단독으로 쓴 4번째 ..
요즘 클럽하우스가 핫하더군요. 코로나로 인해 클럽에 가지 못하는데 무슨 클럽하우스냐 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클럽하우스라는 것은 새로운 음성 기반형 SNS 서비스입니다. 텍스트나 동영상 기반의 SNS와는 달리 가장 간편한 음성을 이용해서 소통을 하는 SNS라는 특징이 있죠. 호텔의 클럽하우스처럼 일종의 가상 사교 공간이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네요. 기존 텍스트 기반 SNS는 누구나 자유롭게 메시지를 날릴 수 있고 반면에 너무나 산만해서 특정 주제에 집중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는데, 그에 반해 클럽하우스는 권한을 부여받은 사람들만 발언을 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특정 주제에 대해 집중된 대화를 나눌 수 있게 해 줍니다. 물론, 누구나 자유롭게 말을 할 수도 있구요. 음성만으로 소통을 하기 때문에 줌(Z..
CES 2021에서 확인된 디지털 헬스케어 트렌드에 대해 정리한 자료입니다. 기본적으로 CES 2021의 핵심 키워드를 Sustainabe과 Better로 이해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헬스케어 분야의 대표적인 특징들을 정리해서 관련 제품들과 함께 소개했습니다. 자료만으로는 정확한 내용들을 전달해 드리기는 어렵지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igital Healthcare Trends 1. Remote care & Servitization 2. Personalized Care and Service 3. Mental care and Digital Therapeutics 4. Untact & Natural User Interface 5. Disinfection and Counter-COVID-19 6. Care ..
저의 4번째 책인 가 1월 30일 발간되어 절찬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아마존, 테슬라, 애플, 네이버 같은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의 성공 전략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구매 부탁드립니다. 궁금하지 않으신 분들도 구매 부탁드려요 ^^; ================ 위에 보이는 회사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네 맞습니다. 각 분야별 일등 기업들이죠. 그리고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이라는 것입니다. 저는 이들처럼 각 분야의 일등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을온리원 기업이라 부릅니다. 그런데, 아마존과 비슷한 시기에 온라인 플랫폼 비즈니스를 시작한 이베이는 왜 온리원 기업이 될 수 없었을까요? 저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이베이는 온라인 기업이면서도 마치 ..
약 한 달 전에 2021년 스마트홈 시장 전망에 대한 자료를 공유한 후 CES 2021 내용 팔로업, 라는 책 출간 준비 등으로 정신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추가 동영상을 만들지 못했는데요, 주말을 맞이해서 간만에 하나 정리해서 공유합니다. 이번 동영상은 요즘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분들 사이에 인기가 많은 테슬라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봤습니다. 조금 조심스럽긴 한데요, 테슬라가 과연 글로벌 시가총액 2~3위를 하는 아마존과 같은 회사가 될 것이냐, 아니면 아마존을 뛰어넘는 회사가 될 것이냐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했습니다. 그리고 이들 기업이 사용하는 크로스플랫폼 전략과 멤버십 서비스에 대한 이야기, 이런 비즈니스 모델을 사용하는 네이버, 월마트, 쿠팡,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기업들 소개 등등의 이야기를 ..
지난 10월 6일, 공정위는 네이버가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다며 267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쇼핑검색에서 자사의 쇼핑 서비스를 경쟁 쇼핑 서비스들에 비해 차별적으로 대우를 했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미국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관련된 내용으로 인터뷰한 기사가 실려서 공유합니다.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31661 [이슈분석] 공정위-네이버 267억 과징금 공방의 전말 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 vs 검색 신뢰도 제고 jmagazine.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