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Digital Transformation and Ambient (1085)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하지만 궁국적인 해결책은 되지 않겠죠.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마이크로소프트가 빠르게 치고 나가는 모습입니다. 구글이나 아마존은 그나마 조금이라도 대응을 하고 있는데, 애플은 그러지를 못했죠. 이에 급기야 애플은 구글에 AI를 빌려달라고 손을 벌리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과연 현재 문제에 대한 해법이 될까요? 당연히 해법이 되지 않습니다. 잘해야 1년 정도 시간을 버는 정도가 되겠지만, 그래도 고객들은 실망할 것입니다. 특히 Humane의 AI Pin이나 Rabbit의 R1과는 기존의 스마트폰과는 결이 다른 폼팩터가 등장하는 마당에 자신들만의 AI가 없다면 결국 어느 정도의 사용자들은 애플을 외면하겠죠. 게다가 올해부터는 AI가 탑재된 자동차들도 나올 거고, 스마트홈용 AI 스..
Matter 표준을 개발하고 있는 CSA에서 IoT Device Security Specification 1.0과 라벨링(Product Security Verified Mark)를 공개했다. 출시 기준으로 미국 유럽 싱가폴 보안 기준만을 수용하고 있지만, 앞으로 전세계 모든 나라에서 통용되는 표준으로 만들겠다고 한다. 해당 스팩은 이 링크에서 다운받으시기 바랍니다.
Crestron이라는 브랜드를 처음 접하는데요, Hubitat Elevation 허브를 이용해서 매터 기기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Crestron이 조금 비싼 브랜드의 제품이라고 하는데요, 그래서 기성 브랜드와의 통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터 표준에 관심을 갖는다고 합니다. https://restechtoday.com/integrating-matter-compatible-devices-with-a-crestron-smart-home/ Integrating Matter-Compatible Devices with a Crestron Smart Home Matter (originally called Connected Home over IP or CHIP) is the newe..
로봇과 AI 기술을 이용해서 시니어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사업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자료네요. 아래 내용은 요약이구요, 전체 기사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서울시는 초고령 사회의 다양하고 높은 돌봄 서비스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첨단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케어로의 전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반려로봇견, 재활로봇 등 AI 기반 돌봄 로봇이 활용될 예정이다. 노인들의 웰빙 향상을 위해 스마트복지관, 스마트노인관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에는 노인들의 디지털 욕구를 돕기 위한 '디지털 체험버스'가 운행될 예정이다. https://english.seoul.go.kr/elderly-care-becomes-smart-in-seoul-by-using-robots-and-ai-tec..
이 기사의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스마트홈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기사입니다. ======================= 진정한 스마트 홈을 계획하고 있다면 스마트 허브가 필요합니다. 알아두어야 할 사항을 소개합니다. 저는 10년 동안 스마트 홈에서 생활해 왔으며, 빠르고 안정적인 스마트 홈을 원한다면 스마트 홈 허브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씀드리고자 이 글을 썼습니다. 스마트 조명 몇 개만 있거나 설정이 매우 간단한 경우에는 허브 없이도 사용할 수 있지만, 연결된 장치가 몇 개 이상이고 여러 제조업체의 제품인 경우에는 이를 관리할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때 허브가 필요합니다. 스마트 홈에서 겪을 수 있는 많은 불만 사항들, 즉 느린 조명, 여러 개의 앱으로 기기를 제어하는 문제, 이 가젯은 ..
아래 내용은 이 기사를 번역한 것입니다. 도이치텔레콤과 레이어 디자인이 디자인한 이 제품들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고 통신 기술을 위한 AI의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산업 디자인 회사 레이어와 도이치텔레콤은 지난 2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 스마트 홈 어시스턴트 시리즈를 디자인하여 처음 공개했습니다. 홀로그램 허브와 로빙 퍼스널 로봇이 포함된 Concept T 디자인 제품군은 AI, 컴퓨터 비전, Wi-Fi 센싱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통신의 잠재적인 미래를 보여준다고 두 회사는 말합니다. 도이치텔레콤의 기술 및 혁신 담당 이사회 멤버인 클라우디아 네마트는 "Concept T는 무엇보다도 홀로그램 전화가 어떻게 현실화될 수 있는지 연구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
MWC 2024에서 보내온 메일을 보니, 위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더군요. 바로 숫자로 보는 MWC 2024입니다. 참가국 및 참가자수를 보면 105개 국에서 101,000명이 참가했네요. 당초에 9.5만명 혹은 9.8만명 정도 참가할 거라고 했는데, 거뜬히 10만명을 넘겼네요. 실제로 전시장은 CES 못지 않을 정도로 인산인해였습니다. 참가 기업수는 2,700개였다고 하는데요, 2023년의 2,400개에 비해 무려 10%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아무래도 국가관이 35개나 되면서 여기에 참가한 작은 기업들이 많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며칠 전부터 MWC 2024의 GLOMO Awards 수상자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는데요, 현재까지 발표된 분야 중 국내에서는 총 4개 기업이 수상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이 2개, 삼성전자가 하나, 그리고 효돌이라는 기업입니다. 위 슬라이드에 보이는 것처럼, SK텔레콤은 최고 클라우드 솔루션(Best Cloud Solution)과 접근성 및 포용을 위한 최고 모바일 활용(Best Use of Mobile for Accessibility & Inclusion) 분야에서 수상했구요, 삼성전자는 최고 커넥티드 소비자 기기(Best Connected Consumer Device) 분야에서 수상을 했습니다. 그리고, 효돌이라는 기업이 커넥티드 헬스 및 웰빙을 위한 최고 모바일 혁신(Best Mo..
아래 글은 이 기사의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샤오미는 하나의 스마트 생태계 내에서 모든 사용자 요구를 원활하게 충족함으로써 기술 통합의 경계를 재정의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면서 MWC 바르셀로나 2024에서 인간 x 자동차 x 홈 플랫폼을 공개했습니다. 샤오미는 스마트폰 x AIoT에서 새로운 휴먼 x 카 x 홈 생태계로 전환하면서 개인 기기, 스마트홈 제품, 자동차를 통합하여 기기의 원활한 연결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업계 파트너와의 실시간 조정 및 협업을 제공합니다. 새로운 플랫폼의 필수 요소인 샤오미의 첫 번째 전기차, 샤오미 SU7은 2023년 말 국제 무대에 데뷔하며 지능형 미래에 대한 샤오미의 비전을 엿볼 수 있다고 샤오미 인터내셔널의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다니엘 데자르레이(Daniel ..
지난 1월 17일,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삼성은 스마트 반지인 갤럭시 링의 티저 영상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지난달 말에 있었던 MWC 2024에서 색깔이 다른 3종을 공개했죠. (색상별 9개의 사이즈) 현장에서 담당에게 갤럭시 링에 대한 설명을 들어보니 한번 충전으로 9시간 정도 지속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건강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스마트홈 기능을 지원하냐고 물어보니 스마트싱스와 연결되어 잠에 들면 TV나 조명을 꺼주거나 에어컨을 조절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일부 다른 제품들처럼 음성을 인식해서 스마트홈 기기를 제어하거나 LLM과 결합하여 더 고도화된 기능을 할 수 있냐고 물어보니 지금으로써는 할 수 없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