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ACN (4)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 '유플러스존(U+zone)' 공개 2012년 와이파이AP 250만개, 와이파이존 8만곳 구축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 LG유플러스의 가정용 와이파이 AP와 와이파이존을 하나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와이파이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LG유플러스는 29일 서울 LG광화문 빌딩에서 이상철 부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간담회를 열고 LG유플러스의 와이파이망을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인 '유플러스존(U+zone)'을 공개했다. 'U+zone'은 유선망 기반으로 100Mbps의 와이파이 AP 100만개와 1만6천곳의 와이파이존을 원격으로 실시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하나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할 수 있..
저 이러다가 LG 알바냐는 소리를 들을 것 같군요.. (사실 LG 직원입니다 ㅋㅋ) 최근에 ACN 비밀번호에 대한 검색 유입어가 많아서 관련 글을 썼더니, 방문자 수가 더 늘어나더군요. 그래서 다른 사람들 홈페이지도 다녀보고 했더니, 생각 이상으로 무선랜 공유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보안 이슈가 해결된다는 전제 하에 공유 하는 것을 바라고 있더군요.. ACN의 경우 AP(무선랜 공유기)의 소유주가 전체의 80% 정도의 대역폭을, 방문자가 20% 정도의 대역폭을 이용한다고 하네요. 즉, 최신 AP의 경우 주인은 80Mbps 정도, 손님은 20Mbps 정도 이용한다는 개념인데, 솔직히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의 성능이 그리 좋지않아서 저 정도는 안 될거에요.. 노트북으로 ..
최근 제 블로그의 검색 유입어를 살펴보니 LG유플러스에서 제공하는 무선랜(Wi-Fi)의 비밀번호가 무엇인지 궁금해 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더군요. 이전에는 myLGnet에 접속하면 1234~~로 된 비밀번호로 접속이 됐었는데, 최근에는 myLGnet도 없어지고 U+Net5B3C 처럼 이상한 SSID와 U+ACN이라는 SSID가 보이면서 옛날 비밀번호로 접속이 안 되고 말입니다. 이유인 즉은, 그동안 공개키를 이용하던 무선랜에 대한 보안 이슈가 제기 되고 있고, 암암리에 알려진 암호를 이용하여 무선랜 AP에 접속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고자 함입니다. 또한, LG U+ 고객들끼리만 해당 AP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정책이 바뀐 것입니다. 좀 더 설명을 하자면, LG 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