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2024/12 (20)
디지털 전환과 앰비언트
오늘 오전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 주관으로 진행된 스마트홈 리더스포럼에서 발표한 자료를 공유합니다. 제목은 최신 스마트홈 트렌드 및 미리보는 CES 2025구요, 자료의 전반은 최근 스마트홈 트렌드를 담고 있고 후반부는 스마트홈 중심의 CES 2025 트렌드를 담고 있습니다. 돌아오는 주말에 해당 자료의 강의 영상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24.12.17 부로 LG전자가 자사의 스마트홈 플랫폼인 ThinQ API를 전면 개방한다고 합니다. 애플이 21년, 삼성이 23년, 그리고 구글이 올해 초 자신들의 스마트홈 플랫폼을 전면 개방한 것에 비하면 다소 느린 편이지만, 적어도 혼자 스마트홈 생태계를 끌고 갈 수 있다는 생각을 포기한 것 같아 다행입니다. ThnQ API 개방을 통해 LG전자의 26종 가전제품들을 타 플랫폼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냥 매터 지원하면 쉽게 해결될 일을 왜 이렇게 어렵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https://zdnet.co.kr/view/?no=20241217081922
중국의 스마트홈 솔루션 전문기업인 오르비보가 MixPad M5라는 월패드를 새로 출시했군요. 이 제품은 매터 표준 및 지그비 3.0 표준을 동시에 지원합니다. 알렉사도 내장했다고 하고 텍스트는 16개국어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물론, 애플 홈, 구글 홈 및 오르비보 앱을 통해서도 제어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 제품은 주요 음악 플랫폼과 호환되어 언제든 고품질 오디오를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와 상호작용성을 강화했다고 하네요. 최근 중국에서 나오는 제품들은 다 이런 식으로 스마트폰의 위젯 느낌이 나는 제품들입니다. 아쉬운 점은 가격이 생각보다 비싸더군요. 이 제품의 경우 가격은 350달러인데, 현재 환율 1435원 정도를 감안하면 우리돈으로 50만원이나 합니다. 이 정도 가격이면 아마존의 에코 쇼 21..
다음주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 주최 리더스 포럼에서 발표할 자료를 준비하다가 만든 장표입니다. 매터 표준을 지원하는 스마트홈 가전제품들이죠. 물론, 이게 전부는 아닙니다. 몇몇 제품은 빠졌고, 파생 모델들도 빠져 있습니다. 현재 매터 인증을 받은 제품 수가 5,000개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고작 10여 개에 불과한 매터 표준 지원 가전제품은 다소 미약해 보일 수 있지만, 가전제품을 지원하는 매터 표준이 나온 것이 2023년 10월 발표된 매터 1.2와 2024년 5월 발표된 매터 1.3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앞으로 더 많은 제품들이 출시되지 않을까 합니다. 가전제품이라는 것이 기획하고 출시하는데,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죠. 문제는 삼성전자나 LG전자 등 주요 가전사는 매터 지원 가전 제품을..
독일 연방 정보보안청(BSI)은 BadBox 멀웨어에 감염된 디지털 액자와 미디어 플레이어 약 3만 대에서 가해자와의 통신을 차단했습니다. 이 기기들은 오래된 Android 버전을 사용하며, 멀웨어가 사전 설치된 상태로 판매되었습니다. BadBox는 사용자 모르게 이메일 및 메신저 계정을 생성해 가짜 뉴스를 퍼뜨리거나, 광고 사기를 수행하고, 인터넷 연결을 범죄 활동에 악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추가 멀웨어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습니다.BSI는 싱크홀링 조치를 통해 피해 기기와 가해자 서버 간 통신을 차단하고 있으나, 오래된 펌웨어를 사용하는 모든 IT 기기는 여전히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BSI는 감염 사례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
지난 10월 말 코엑스에서 개최된 AIoT 전시회에 참가를 했었는데요, 저희 부스를 방문하신 성균관대 신문사 백지원 기자님께서 스마트홈 및 와츠매터의 사업에 대한 내용을 기사화 해주셨습니다. 두 개의 기사로 실렸는데요, 온라인 기사의 링크를 공유드립니다 ^^2024 AIoT 국제전시회, 스마트홈 혁신의 현장에 가다https://www.skkuw.com/news/articleView.html?idxno=31679 스마트홈, 당신의 집을 더 똑똑하게https://www.skkuw.com/news/articleView.html?idxno=31680
간만에 매터(Matter) 표준에 대한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매터 표준의 주요 특징 및 인증 현황, 주요 사업자 동향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와츠매터가 2025년 1월에 론칭할 매터 디바이스 전문 쇼핑몰인 모두스홈(ModusHome)에 대한 내용도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신하세요. ※주의: 영상이 50분이 넘음!! https://youtu.be/LOvtSlxanH8
애플의 홈킷 생태계 제품을 주로 공급하는 Eve Systems가 추가로 매터 표준을 지원하는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라디에이터 밸브를 대체하는 제품으로 스마트하게 공간의 온도를 조절해 줄 수 있습니다. 온보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고, 재실 센서도 내장하고 있습니다. 매터 표준을 지원하면서 아이폰뿐만 아니라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기존의 홈킷 앱에서 지원하던 다양한 기능 중 일부를 지원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https://www.androidpolice.com/eve-thermo-app-android-matter/ Eve Thermo finally gets an Android app thanks to MatterMatter delivers on it..
중국의 스마트홈 디바이스 제조사인 Meross에서 매터 표준을 지원하는 온도조절기를 출시했습니다. 위 이미지에 보이는 것처럼, 터치스크린이 있는 흰색의 유리 패널이 있고, Meross 앱을 통해 시스템 사용량을 추적하거나 스마트 스케줄링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온도조절기는 C-Wire가 필요하며 이는 95%의 냉난방 시스템과 호환된다고 합니다. 와이파이(Wi-Fi)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며, 아마존, 애플, 구글 등 다양한 플랫폼과 통합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북미지역에서 매터를 지원하는 스마트 온도조절기는 구글의 네스트 서모스탯($129.99), 네스트 러닝 서모스탯($279.99)과 이 제품($99.99)뿐입니다. 현재 Meross 스토어에스는 69.99달러에 구매가 가능하다고 하네요...
파워캐스트는 Matter 연결 표준과 Thread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스마트홈 생태계에 통합되는 배터리 없는 무선 센서를 선보입니다. Matter와 IEEE802.15.4 Thread 프로토콜은 구글 홈, 아마존 알렉사, 애플 홈킷, 삼성 스마트싱스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가정 내 배선이나 배터리 없이도 센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원거리 무선 BLE IoT 센서 (아래 기사 링크 클릭)* 무선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배터리 없는 무선 키보드 (아래 기사 링크 클릭)* 물질 기반 홈 보안을 위한 북유럽 팀 (아래 기사 링크 클릭) 하나의 RF 송신기는 최대 25피트 떨어진 곳에 설치된 모든 RF 지원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각 방에 하나의 송신기를 배치하면 집 전체의 모든 센서에 전원을 ..